[특별취재] 장순향, 독일 소녀상 앞에서 평화의 춤을 추다 “그녀의 이름은 평화”… 기억과 연대의 예술이 다시 주목받다

  • 등록 2025.07.07 09:36:28
크게보기

“소녀상 강제 철거 후 학생들이 지키는 소녀상 터 앞에서 눈물이 났다”
"이제는 기억과 책임의 정치를 기대한다"
“그녀의 이름은 평화… 그 이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장순향, 독일 소녀상 앞에서 평화의 춤을 추다
“그녀의 이름은 평화”…  기억과 연대의 예술이 다시 주목받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기억을 예술로 증언하는 특별한 순회공연이 독일에서 펼쳐졌다.
이번 행사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마창진시민모임’ 주관, 여성가족부 산하 여성진흥원 후원, 재독 ‘코리아협의회’ 협력으로 진행되었으며, 예술단체 The Fifth Voice 소속 예술가 세 명이 함께 출국해 독일 내 소녀상 네 곳에서 공동 주제 ‘그녀의 이름은 평화’ 아래 각자의 예술 세계를 선보였다.

 

참여 예술가는 일인극 배우 한대수, 서양화가 퍼포먼스 배달래, 그리고 즉흥춤 무용가 장순향이다. 특히 장순향은 네 도시의 공연마다 각기 다른 작품명과 내용을 담은 창작 즉흥춤을 선보이며 큰 주목을 받았다.

 

한국의 전통무용가 장순향이 독일 소녀상 네 곳을 순회하며 위안부 피해자들의 기억과 존엄, 그리고 평화의 메시지를 담은 즉흥 창작춤 공연을 선보였다. 프랑크푸르트(6.27), 본(6.28), 카셀(6.29), 베를린(7.3)에서 펼쳐지는 이번 공연은 ‘그녀의 이름은 평화’라는 주제 아래, 각기 다른 무대와 주제로 진행되었고, 독일 시민들과 교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아리랑’은 프랑크푸르트 소녀상 앞에서 아리랑 선율과 함께 펼쳐졌으며, ‘조선의 소녀’는 본 소녀상 앞에서 조선 여성의 존엄과 강인함을 표현했다.

 

‘나비’는 카셀 소녀상 앞에서 펼쳐졌으며, ‘천사의 시’는 마지막 공연지인 베를린 소녀상 앞에서 관객들과의 울림을 나눌 예정이다.

 

공연은 모두 현장 즉흥 창작으로 이루어졌으며, 언어 대신 몸으로 말하는 장순향의 춤은 현지 활동가들과 관람객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소녀상 강제 철거 후 학생들이 지키는 소녀상 터 앞에서 눈물이 났다”

 

특히 카셀대학교 학생회관 앞 소녀상은 일본의 외교압박으로 학교측이 야간에 소녀상을 기습 철거, 그 현장을 학생들이 돌을 쌓고 현수막을 설치하며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야간에 철거된 소녀상의 행방을 물어도 답을 않더니 한참 후에 이삿짐 센터에 맡겨진 사실을 알고 분통을 터뜨린 교민사회가 독일인 목사의 교회 앞에 임시로 거처를 옮긴 상태이다. 장순향은 “그 돌탑 앞에서 춤을 추는데 눈물이 났다. 예술로 연대하는 것의 의미를 다시 새기게 됐다”고 밝혔다.

 

이 공연은 독일 내 소녀상 활동을 이끌어온 코리아협의회와 연계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일본 정부의 외교적 압박으로 인해 독일 정부가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했고, 활동가들이 해직되는 등 소녀상 지킴이는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일본의 외교 압박으로 야간 철거된 카셀 소녀상 자리, 학생들이 돌과 현수막으로 지키고 있다.

 

이제는 기억과 책임의 정치를 기대한다

 

시민사회는 새로운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다시 국격의 문제로 바라보며, 전 세계에 설치된 소녀상에 대한 외교적·문화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장순향은 “정권이 바뀐 지금, 우리가 외면했던 기억을 되살리고, 위로와 책임의 예술이 다시 공론장에 오를 수 있기를 바란다”며, “베를린 소녀상 앞 마지막 공연은 그 시작을 알리는 몸짓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순향 선생이 소녀상 앞에서 위안부 피해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그녀의 이름은 평화… 그 이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장순향은 마지막 공연이 예정된 7월 3일 베를린 소녀상 앞 공연에 많은 이들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이곳의 활동가들은 한국에서 온 연대의 몸짓 하나하나에 큰 용기를 얻는다”며, “베를린에 지인이 있다면 함께 해달라”고 전했다.

 

본 여성박물관 소녀상 앞

이번 독일 소녀상 순회공연을 펼친 장순향 무용가는 기억과 역사를 몸으로 되새기며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실천해온 인물이다. 그는 故 이애주 선생의 예술정신을 기리는 이애주문화재단 시대창작 부문 첫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오랜 기간 한국무용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 창작작업과 인권·역사 현장 참여를 통해 예술과 현실의 경계를 허물어왔다. 이번 독일 순회 역시 그가 이어온 ‘춤을 통한 증언과 연대’의 여정이 유럽 현장에서 또 한 번 울림을 만든 뜻깊은 발걸음으로 남는다.

 

그녀의 순회공연은 예술적 퍼포먼스를 넘어, 국가의 침묵을 뚫고 역사의 진실을 지키려는 민간의 몸짓으로 기록되고 있다. 외면당한 기억을 끌어안고, 외로운 현장을 예술로 환히 밝히는 장순향의 춤은 오늘도 ‘그녀의 이름은 평화’임을 다시 한 번 말하고 있다.


“이제는 정부가 나서야 한다. 예술은 시작일 뿐이다.”

송혜근 기자 mulsori71@naver.com
Copyright @국악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


(우)10545,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향동로 128 스타비즈 4st 520호(향동동 469번지) 등록번호: 경기,아53864 | 등록일 : 2021-09-24 | 발행인 : 송혜근 | 편집인 : 송혜근 | 전화번호 : 02-3675-6001/1533-2585 Copyright @(주)헤리티지네트웍스 국악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