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문화 가족과 함께한 국악극 ‘금다래꿍’… 전통으로 하나 된 감동의 무대
인천 부평의 국악전용극장 잔치마당이 지난 11월 2일 다문화 가족과 함께하는 국악극 〈금다래꿍〉 교육 발표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천광역시의 「2025년 문화공간 조성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다문화 가족어린이 국악극 교육 프로그램의 결실로, 전통예술을 매개로 한 따뜻한 교류의 장이 펼쳐졌다.
전통연희단 잔치마당(대표 서광일)은 부평구 다울빛 이주민지원센터와 협력해 지역 내 다문화 가족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했다. 중국, 베트남, 카자흐스탄, 한국 등 다양한 국적의 20여 명이 교육에 참여했으며, 이 중 10여 명이 무대에 올라 연희와 연극, 음악이 결합된 국악극 〈금다래꿍〉을 완성했다.
사물놀이와 전통 이야기의 결합… 아이들의 상상력을 무대 위로
이번 교육은 2025년 5월부터 9월까지 매주 토요일 총 20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서도민요 ‘금다래꿍’을 배우는 것에서 시작해 사물놀이 악기 연습, 동물 캐릭터 연기, 극 구성과 동선 훈련 등 전통예술의 전 과정을 체험했다.
특히 사물놀이의 상징인 ‘꽹과리–천둥, 징–바람, 장구–비, 북–구름’을 스토리 속에 녹여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전통음악의 의미를 이해하도록 구성한 점이 눈길을 끌었다.
극의 내용은 금다래 할머니와 동물 친구들이 잃어버린 손녀를 찾아 나서는 이야기로, 관객의 추임새와 호응이 어우러져 ‘함께 즐기는 잔치마당’의 분위기를 자아냈다.

“한국 문화를 직접 경험해 자부심 느꼈어요”
공연에 함께한 중국 조선족 정춘전 씨는 7살 딸 왕주은 양과 함께 장구 치는 사슴 역을 맡았다. 그는 “딸과 함께 장구도 배우고 한국어로 대사를 연습하며 공연을 만드는 과정이 참 뜻깊었다”며 “이주민으로서 한국 문화를 직접 경험하고 무대에 설 수 있어 자부심이 생겼다”고 소감을 전했다.
왕주은 양 역시 “장구 치고 연기하는 게 재미있었고, 다음에도 또 공연하고 싶다”고 밝히며 해맑게 웃었다.
다울빛 이주민지원센터 김은미 센터장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 가족이 지역 문화예술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뜻깊은 사례가 만들어졌다”며 “성과를 바탕으로 인천다문화문화예술축제와 다울빛 총회 무대에서도 〈금다래꿍〉 공연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잔치마당 서광일 대표 “세종학당·해외문화원 연계한 국제 교류 모델로 확장”
서광일 전통연희단 잔치마당 대표는 “〈금다래꿍〉은 다문화 가족의 소통과 자존감을 높이는 문화통합형 예술교육 모델임을 확인한 자리였다”며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세종학당과 해외 한국문화원 등과 연계해 교육형 공연 콘텐츠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금다래꿍〉은 다문화가정의 문화예술 참여 확대, 지역 공동체 활성화, 가족 단위의 문화소통 촉진 등 다방면에서 성과를 거두며, K-전통예술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문화교육 모델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번 발표회를 통해 전통연희단 잔치마당은 “전통예술로 세상을 잇는 다문화 교육 플랫폼”이라는 비전을 실현하며, 국악을 통한 진정한 문화 포용의 장을 만들어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