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과 기록으로 다시 짓는 한국의집』 출간

  • 등록 2023.07.28 10:18:30
크게보기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지켜본 ‘한국의집’ 터에 대한 역사, 그리고 숨겨진 이야기

 

『기억과 기록으로 다시 짓는 한국의집』 출간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은 ‘한국의집’의 역사와 이야기를 담은 『기억과 기록으로 다시 짓는 한국의집』을 출간했다.

 

역사의 질곡을 함께하며 해방의 소식을 맞이한 ‘한국의집’

 

‘한국의집’은 조선 전기 문신이자 사육신 중 한 명인 박팽년의 집터 위에 세워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2인자인 정무총감의 관저로 사용된 공간이자 해방의 소식을 처음 맞이한 뜻깊은 공간이다. 1945년 8월 15일 엔도 류사쿠 정무총감은 여운형 선생을 관저로 불러 치안과 질서 유지를 담보로 협상을 진행하였다. ‘한국의집’은 해방의 역사를 내딛는 첫 번째 장소가 되었다.

 

․ 조선 전기 : 박팽년 사저

․ 1910년대~1945년 : 정무총감 관저 *해방의 역사를 내딛는 역사적 현장

․ 1945년~1948년 : 주한미군정청 관리

․ 한국전쟁 :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미8군사령관) 관저

․ 1957년 : 대통령 직속 공보실 ‘한국의집’ 개관

․ 1981년 : 전면 개축작업(1980)후 재개관

 

미8군사령관 관저에서 한국의집이 되기까지

 

해방 후 주한미군정청이 관리하며 숙소 겸 미군의 위락시설로 활용하였고, 이 무렵부터 ‘한국의집’은 ‘코리아 하우스’로 불렸다. 관저로 사용한 미8군사령관 중에는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James A. Van Fleet)*이 있다.

*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 : 재임 중 한국의 육군사관학교를 설립하고 전쟁 후에는 ‘코리아 소사이어티(The Korea Society)’를 설립하는 등 한국 재건과 문화 사업에 많은 공적을 남김

 

‘한국의집’은 전쟁 후 영빈관과 한국 문화 체험 시설로 활용되다 1955년 공보처가 대통령 직속 공보실로 변경되며 1957년 대대적인 개보수를 진행하였다. 이때부터 ‘한국의집’은 한국의 전통 생활과 문화를 소개하고 즐길 수 있는 장소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당시 건축물은 한국 전통 양식과 서양식, 일본식이 혼합된 형태였으며, 1978년 ‘우금헌(구 문향루)’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한국 전통 양식으로 다시 지어졌다. 1981년 2월 재개관하여 지금의 ‘한국의집’이 되었다.

 

1981년 한국의집 재개관 시 당시 최고의 서예가인 일중 김충현, 원곡 김기승, 여초 김응현, 청남 오제봉, 청명 임창순 선생이 제작한 현판과 주련은 지금도 한국의집을 지키고 있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 현판과 주련의 해설을 포함하여 당시의 글씨와 의미를 오롯이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기록을 쫒으며 발견한 친일 잔재의 흔적

 

도서 제작 과정에서 ‘한국의집’의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닌 건물인 ‘문향루(현 우금헌)’ 명칭의 유래와 그 의미를 발견하였다. 저자로 참여한 오일환 아르고인문사회연구소 대표연구위원은 ‘문향루(聞香樓)’의 원래 이름은 일제강점기 정무총감 관저 내에 있던 ‘문향각(聞香閣)’에서 유래한 것이며 ‘문향각’은 이완용이 당시 정무총감인 미즈노 렌타로(水野錬太郎)를 찬미하기 위해 만든 명칭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경성일보』 1934년 12월 1일자와 미즈노 렌타로의 회고록. [붙임2] 참조

 

재단은 친일 잔재 자료를 확인한 후 ‘문향루’의 명칭을 ‘우금헌*’으로 새롭게 정하고 현판을 바꿔 걸었다. 재단은 “일제의 잔재를 바로 잡고 진정한 우리 전통문화를 보여주는 ‘한국의집’이 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우금헌(友琴軒): 거문고를 벗하는 집. 박팽년의 호인 '취금헌(醉琴軒)‘에서 ’거문고(琴)‘를 남기고 이를 벗한다는 '우友'를 더하여 원래 집터의 주인이자 목숨으로 지조와 절개를 지켜 낸 박팽년의 뜻을 기림으로써 오욕의 역사를 정갈하게 씻어낸다는 의미로 정하였다.

 

한국문화재재단의 시작, ‘한국의집’

 

한국문화재재단은 1980년 ‘한국의집’의 위탁관리를 맡으며 ‘한국문화재보호협회’로 시작하였다.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6길에 위치한 ‘한국의집’은 재개관 후 지금까지 궁중음식과 전통혼례 등의 계발‧보급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존의 ‘한국의집’이 외국인 전용 공간으로 전통문화 홍보를 위해 운영되었다면, 1981년 2월 재개관 이후에는 모두를 위한 ‘한국의집’으로 다시 태어났다.

 

‘한국의집’은 궁중음식을 기반으로 한 전통음식의 보급과 함께 전통혼례문화의 대중화와 보존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또한 민속극장은 국악계의 사관학교이자 국악인들의 사랑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당대 최고의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홍금산, 정재만, 최현, 박병천, 송범, 국수호 등이 한국의집예술단 단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의집 민속극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상설공연을 중단하기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매일 전통예술공연이 펼쳐진 장소였다.

 

‘한국의집’은 지금도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새로운 도전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고자 가정간편식(HMR) 상품 ‘효종갱’, ‘설리갱’ 등을 개발하여 온라인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디저트와 인증샷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젊은 세대의 트렌드에 맞추어 궁중 다과 브랜드 ‘고호재’를 새롭게 출시했다. ‘한국의집 민속극장’과 예술단은 코로나19 이후 상설공연을 중단하고 외부 공연을 확대해 나가며 다양한 곳에서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책장을 넘기며 ‘한국의집’ 위에서 흘러간 시간들을 따라 가다보면 자연스럽게 우리나라의 근현대 역사 속에서 함께 걷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기억과 기록으로 다시 짓는 한국의집』은 한국의집 문화상품관 카페 ’사랑’에서 구매 할 수 있다.

(※ 판매가: 2만원/ 구매 문의 02-2266-9101~3)

송혜근 기자 mulsori71@naver.com
Copyright @국악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


(우)10545,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향동로 128 스타비즈 4st 520호(향동동 469번지) 등록번호: 경기,아53864 | 등록일 : 2021-09-24 | 발행인 : 송혜근 | 편집인 : 송혜근 | 전화번호 : 02-3675-6001/1533-2585 Copyright @(주)헤리티지네트웍스 국악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