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採薪之憂(채신지우) 땔나무도 못 할 만큼 나무꾼의 깊은 우환(憂患)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의 병 일렀던 말 후대엔 자신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語 義> : 나무꾼의 憂患(우환). 땔나무를 할 수 없는 우환.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出 典> : 孟子(맹자) 公孫丑章句下(공손추장구하) 二(이) 孟子(맹자)가 장차 齊(제)나라 왕에게 문안드리러 가려고 하였을 때, 왕이 사람을 시켜서 말을 전해 왔다. “寡人(과인)이 가서 만나볼 것이나, 감기가 들어서 바람을 쐴 수 없다. 선생이 나와 주시면 만나볼까 한다. 혹시 과인이 만나볼 수 있게 해 주실는지?” 맹자도 또한 대답하여 가로되, “불행히도 병이 있어, 문안을 드리러 나갈 수가 없습니다.” 그 이튿날 맹자가 東郭氏(동곽씨) 댁에 弔問(조문 : 남의 죽음에 대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를 위로함)하러 나가려고 하였다. 公孫丑(공손추)가 말하기를, “어제는 병이 났다 하여 나가는 것을 謝絶(사절 : 요구나 제의를 받아드리지 않고 물리침)하고, 오늘은 조문하러 나가시니 혹시 잘못된 것이 아닙니까?” 맹자 가로되, “어제 앓다가 오늘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중과부적(衆寡不敵) 소국(小國)은 큰 나라를 대적(對敵)할 수 없습니다 소수(小數)는 많은 수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 약자(弱者)는 진실로 강자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 <語義> :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 (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이기지 못함) <出典> : 孟子(맹자) 梁惠王章句(양혜왕장구) 上七(상칠) 중국 全國(전국) 시대,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王道論(왕도론 : 선한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덕치)을 역설하던 孟子(맹자)가 齊(제)나라 宣王(선왕, B.C.455~B.C.405. 전국칠웅에 속하는 제나라를 부흥시킨 왕)에게 말했다. “殿下(전하)! 스스로는 放逸(방일 : 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놂)한 생활을 하시면서, 나라를 강하게 만들고 천하의 覇權(패권)을 잡으려 드시는 것은 그야말로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연목구어)]’과 같사옵니다.” “아니, 과인의 행동이 그토록 나쁘단 말이오?” “가령, 지금 소국인 鄒(추)나라와 대국인 楚(초)나라가 싸운다면, 어느 쪽이 이기겠나이까?” “그야, 물론 楚(초)나라가 이길 것이오.” “그렇다면 소국은 진실로 대국을 대적할 수…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자포자기(自暴自棄) 스스로를 해치는 사람 대화 상대 아니로다 덕을 쌓지 않는 것도 스스로를 포기한 것 바른 길 가지 않는 사람 이 세상엔 많도다 <語義> : 자신을 스스로 해치고 버린다. (몸가짐이나 행동을 되는 대로 취함) (마음에 불만이 있어 자기 자신을 스스로 버리고 돌보지 않음) <出典> : 孟子(맹자) 離婁上篇(이루상편)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를 살다간, 亞聖(아성) 孟子(맹자, B.C.372~B.C.289)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自暴者 不可與有言也(자포자 불가여유언야) 스스로를 해치는 자와는 더불어 말을 할 수 없다. 自棄者 不可與有爲也(자기자 불가여유위야) 스스로를 버리는 자와는 더불어 일을 할 수 없다. 言非禮義 謂之自暴者也(언비예의 위지자포자) 예의가 아닌 일을 말하는 자를 일러 스스로를 해치는 자라 하고, 吾身不能居仁由義 謂之自棄者也(오신불능거인유의 위지자기자야) 인의를 실천할 수 없다는 자를 일러 스스로를 버리는 자라 한다. 仁人之安宅也(인 인지안택야) 어짊[仁(인)]은 사람이 거할 편안한 집이요, 義人之安路也(의 인지안로야) 옳음[義(의)]은 사람이 밟아야 할 바른 길이다.…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인자무적(仁者無敵) 양(梁)의 ’혜왕(惠王)’ ‘맹자’에게 가르침을 청했더니 선정(善政)을 베풀라네 어진 정치 베풀라네 자고로 어진 사람에겐 적이 없다 하였네 <語義> :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 (어진 사람은 모든 사람이 사랑하므로, 세상에 적이 없음) <出典> : 孟子(맹자) 梁惠王章句上(양혜왕장구상) 四(사) ~ 五(오) 중국 춘추전국시대, 孟子(맹자. B.C.372~B.C.289)가 魏(위→나중에 梁으로 개칭)나라 梁惠王(양혜왕. 재위 B.C.370 ~ B.C.319)을 만났을 때의 이야기이다. 양혜왕이 말하였다. “寡人(과인)은 차분히 가르침을 받들고자 합니다.” 맹자께서 물으셨다. “사람을 죽이는 데 몽둥이를 사용하는 것과 칼을 사용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차이가 없습니다.” “사람을 죽이는 데 칼을 써서 하거나, 虐政(학정)으로 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대답하였다.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왕의 주방에 살진 고기가 있고, 마구간에는 살진 말이 있는데, 백성들에게는 굶주리는 기색이 있고 들에 굶어 죽은 시체가 나뒹굴고 있다면, 이것은 짐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식전방장(食前方丈) 호화롭게 상 차리고 수많은 첩(妾) 두는 일은 내가 비록 뜻 이뤄도 절대로 안 하리라 ‘맹자(孟子)’가 자신의 우월함을 당당하게 밝혔네 <語義> : 식사를 할 자리 앞에 사방 열 자의 상에 음식을 가득 벌여놓는다. (호화롭게 많이 차린 음식) <出典> : 孟子(맹자) 盡心章句下(진심장구하) 중국의 聖人(성인) 孟子(맹자)가 ‘스스로 떳떳한데 무엇 때문에 제후들이나 높은 사람들에게 위축될 것인가’에 대해 말하는 대목이다. 孟子(맹자)가 말하였다. “大人(대인)을 설득시킬 때는 그를 멀리 다루고, 그의 威勢(위세) 좋은 것을 보지 말아야 한다. 집의 높이가 여러 길이 되고, 서까래가 여러 尺(척)이나 되는 집은 내가 뜻을 이루어도 짓지 않을 것이다. 음식을 사방 10자 되는 상에 차려놓고, 수백 명의 시녀와 첩을 두는 일은, 내가 뜻을 이루어도 하지 않을 것이다[食前方丈(식전방장) 侍妾數百人(시첩수백인) 我得志弗爲也(아득지불위야)]. 나는 뜻을 얻어 출세하더라도, 크게 즐기며 술 마시고 말을 달리며 사냥하는 것은 하지 않을 것이다. 천승의 수레를 뒤따르게 하는 것은 내가 뜻을 이루어도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단기지계(斷機之戒) ‘맹자(孟子)’의 유학 시절 중도(中途)에 돌아왔지 그러자 홀어머니 짜던 베를 잘랐다네 ‘맹자’는 충격 크게 받고 공부 다시 열중했지 <語義> : 베틀의 베를 끊는 훈계 (학업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는 훈계) <出典> : 烈女傳(열녀전, 한나라 유향이 지은 여성 전기집 · 교육서) 母儀(모의) 孟子(맹자)가 유명한 학자가 되기까지는 어머니의 정성과 노력이 대단하였다. 맹자가 자라서 遊學(유학)을 갔다가, 학업을 중단하고 집으로 돌아오니, 어머니가 “네 학문은 어느 정도 나아졌느냐?” 하니, “전보다 별 진전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자, 어머니가 짜고 있던 베를 다 끊어버렸다. 맹자가 놀라서, “그 베는 왜 끊어버리십니까?”하니, 어머니가 “네가 학문을 중단하는 것은, 내가 이 베를 끊어버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고 하였다. 맹자는 어머니의 깊은 뜻을 알아차리고, 그 길로 집을 떠나 子思(자사)를 스승으로 섬기며,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열심히 학문에 힘써 마침내 천하의 이름난 聖人(성인)이 될 수 있었다. 군자가 이르기를, “맹자의 어머니는 사람의 어머니로서의 도리를 알았다.”라고 하였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군자삼락(君子三樂) 부모 형제 무탈하고 하늘 보고 떳떳하며 천하의 영재 얻어 그들을 가르치면 그것이 세 가지 즐거움, 왕(王) 되는 건 해당 없네 <語義> :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군자가 누리는 세 가지 즐거움) <出典> : 孟子(맹자)의 盡心篇(진심편)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군자유삼락 이왕천하불여존언)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앙불괴어천 부불작어인 이락야)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득천하영제 이교육지 삼락야)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군자유삼락 이왕천하불여존언)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으니,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더불어 존재하지 않는다(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부모가 모두 갖추어 살아 계시고, 형제가 아무런 탈이 없는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도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는 것이 두 번째 즐거움이요.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그를 교육하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으니,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더불어 존재하지 않는다(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孟子(맹자)는…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고량진미(膏粱珍味) 기름진 고기에다 진귀한 맛난 음식 세상에 보기 드문 고급스런 귀한 음식 명예(名譽)가 갖추어 있다면 고량진미 바랄까 <語義> :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고급스럽고 맛있는 음식. 매우 훌륭한 요리) <出典> : ① 孟子(맹자) 告者(고자) 上篇(상편) - “膏粱(고량)” 孟子(맹자)가 말하기를, “귀하게 되려고 하는 마음은 사람마다 다 같다. 사람마다 자기가 고귀한 것을 갖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알지 못하고 있다. 남이 귀하게 만들어 주는 것은 참으로 귀한 것이 아니다. 趙孟(조맹)이 귀하게 만들어준 것은, 조맹이 그것을 천하게 만들 수도 있다. 詩經(시경)에서 ‘술에 흠씬 취하였고, 德(덕)에 이미 배불렀네.’라고 하였다. 이것은 仁義(인의)의 德(덕)에 배불렀다는 것이다. 그래서 남이 즐기는 기름진 고기나 좋은 곡식을 바라지 않게 되고, 좋은 평판이나 널리 알려지는 명예가 자기 자신에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문양과 수놓은 옷을 바라지 않게 된다.” <原文> 孟子曰(맹자왈) “欲貴子(욕귀자) 人之同心也(인지동심야) 人人有貴於己者(인인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부동심(不動心) 마음에 중심 있으면 동요하지 않게 되지 마흔 살 나이 되면 군자의 도(道) 밝아지니 양심의 명령 따르면 그게 바로 참 용기 <語義> : 움직이지 않는 마음, 동요되지 않는 마음. (마음이 외부의 충동을 받아도 흔들리거나 동요되지 아니함) <出典> : 子(맹자) 公孫丑(공손추) 上(상) 중국 춘추시대, 孟子(맹자)와 제자 公孫丑(공손추)와의 一問一答(일문일답)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 “공손추가 물어 가로되, 선생님께서 齊(제)나라의 재상이 되어 道(도)를 행하시게 되면, 비록 이것으로 말미암아 覇王(패왕)을 이루시더라도 이상할 것이 없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마음이 동요하지 않으시겠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니다, 내 나이 사십 세가 되어서부터 마음이 동요하지 않게 되었다.” <原文> 公孫丑問曰(공손추문왈) 夫子加齊之卿相(부자가제지경상) 得行道焉(득행도언) 雖由此覇王不異矣(수유차패왕불이의) 如此(여차) 則動心否乎(즉동심부호) 孟子曰(맹자왈) 否我四十不動心(부아사십부동심)] 孟子(맹자)께서 만일 벼슬을 얻어서 道(도)를 행하신다면, 비록 이것으로 말미암아 覇王(패왕)의…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대장부(大丈夫) 천하의 넓은 곳에 마음과 몸을 두고 천하의 큰 길 가서 그 뜻을 얻었나니 위세나 폭력으로도 그 지조(志操)를 못 꺾네 <語義> : 크고 어른다운 사내 (장하고 씩씩한 남자) <出典> : 孟子(맹자) 藤文公下(등문공하) 흔히 ‘사내대장부’라고도 쓰는 바, 이는 대장부를 강조한 말이며, 줄여서는 ‘丈夫(장부)’라고도 한다. 大丈夫(대장부)란 말이 나오는 기록이 어느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인지는 잘 알 수 없으나, 대장부란 말을 놓고 그 정의를 내린 것이 孟子(맹자)에 나온다. 藤文公下篇(등문공하편)에 보면, 景春(경춘)이란 사람이 맹자를 찾아와 이런 말을 했다. “張儀(장의)와 公孫衍(공손연)은 어찌 참으로 大丈夫(대장부)가 아니겠는가? 그들이 한번 성을 내면 제후들이 행여나 싶어 겁을 먹고, 그들이 조용히 있으면 온 천하가 다 조용합니다.” 공손연과 장의는 역사적으로 너무나 유명한 맹자 시대의 辯士(변사 : 말솜씨가 아주 능란한 사람)들이다. 경춘의 말처럼 그들이 한번 반감을 가지면 상대는 잠을 편히 자지 못하고, 그들이 조용히 있으면 천하도 따라 조용한 형편이었다. 出世(출세)가 사나이
제2회 옥보 김옥진 명창 육자배기 전국대회 ■ 행사명 제2회 옥보 김옥진 명창 육자배기 전국대회 ■ 주최 (사)한국여성국극예술협회 ■ 주관 홍성덕 국악사랑 ■ 후원 종로구 1. 일시 2022. 12. 4.(일) 오후 3시 ~ 2. 장 소 창신아트홀 (구, 종로구민회관: 서울시 종로구 지봉로5길 7-5) ※ 주차 장소가 협소하며 주차는 본인 부담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세요! 3. 경연부문 육자배기 _ 단심제 (진양조, 자진육자배기, 삼산은 반락, 개구리타령, 흥타령, 서울 삼각산아 中) 4. 경연시간 5분 이내 5. 참가자격 국내·외 남성 및 여성(개인 및 단체 2인 이상) : 8세 이상 누구나 ※ 국가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및 보유자 후보(조교) 제외 6. 참가신청서 교부 및 접수 가. 교부기간 : 2022. 10. 24.(월) ~ 11. 30.(수) 나. 교 부 처 : (사)한국여성국극예술협회 다. 신 청 서 : 다운로드 다음카페(http://cafe.daum.net/womenmusical) 국악타임즈(www.gugaktimes.com 라. 접수기간 : 2021. 11. 9.(수) ~ 11. 30.(수) 24:00까지 접수 이메일접수 : kwm2018@ha
제20회 대한민국 여성전통예술경연대회 ■ 행사명 제20회 대한민국 여성전통예술경연대회 ■ 주최 (사)한국여성국극예술협회 ■ 주관 서라벌국악예술단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여성가족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구의회, (재)국악방송, 국악타임즈, 국악신문사, 국악신문, 김금미판소리전수원, (사)한국전통예술발 전협의회, 이호준 Art, (사)보훈무용예술협회 1. 일시 (예선: 동영상 심사) 2022. 12. 3.(토) 10:00 ~ (본선 및 결선: 대면) 2022. 12. 4.(일) 10:00 ~ 2. 장소 창신아트홀(구, 종로구민회관) 서울시 종로구 지봉로5길 7-5 ※ 주차 장소가 협소하며 주차는 본인 부담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세요! 3. 경연부문 ㉮ 기악 ㉯ 무용 ㉰ 민요 ㉱ 연기 ㉲ 판소리 ※ 전통 및 창작, 자유 작품 ※ 예선 및 본선 동일 작품 가능 ※ 일반부 – 예선, 본선, 결선 / 신인부, 단체부 – 단심, 결선 4. 경연시간 (예선: 동영상) 단체부 4분, 신인부 3분, 일반부 5분 (본선 및 결선: 대면) 단체부 5분 이내, 신인부 5분 이내, 일반부 7분 이내 (예시 1) A4 용지 가능 제20회 대한민국 여성전통예술경연대회 일반부 0
제8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1. 대회명칭 제8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예선/본선 : 대면 심사) 2. 목적 본 대회는 국악의 장래를 이끌어나갈 우수한 인재 발굴과 양성 및 국악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대내외적인 강원도와 홍천지역행사로 자리매김하며 대외적으로 신뢰성을 제고하고 객관적이며 공정하고 엄격한 대회가 될 수 있도록 운영(심사)규정을 제정, 시행 한다. 3. 주최 강원도, 홍천군 4. 주관 사단법인 강원민요연구원 5.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홍천군의회, 홍천교육지원청, 홍천문화재단, 사)한국국악협회, 사)한국전통민요협회, 사)서울전통문화예술진흥회, 사)우리음악연구회 6. 대회일정 일시 : 2022년 11월 26일(토) ~ 27일(일) 오전9시~ 장소 : 강원도 홍천군 / 홍천문화예술회관 7. 참가신청 명창부 : 만 19세 이상 개인 일반부 : 만 39세 이상 개인 청년일반부 : 만 39세 이하 개인 학생부 : 만 19세 이하 개인 단체부 : 2명 이상의 단체 1) 제출서류 참가신청서(소정양식, 신분증) 1부, 사진 1매(최근 3개월 이내, 반명함), 당일 신분증 지참. 국악타임즈 홈페이지(http://www.gugaktimes.com) 신청서 다운로드
제40회 전국국악대전 ■ 대회명 제40회 전국국악대전 ■ 목적 전통국악의 계승발전과 저변확대 및 등용의 기회를 제공하여 젊은 세대들로부터 소외 되어가는 국악을 활성화시키며 국악인구의 저변확대와 관심재고 ■ 대회장 소덕임 (사)한국국악협회 전라북도지회장 ■ 총연출/기획 총연출 소덕임, 기획 최명종, 감독 이덕연 ■ 대회일자 2022년 10월 29일(토) ~ 30일(일) 2일간 ■ 대회장소 순창향토문화예술회관, 순창국악원(기악, 시조) ■ 주최 (사)한국국악협회 전라북도지회, 소리둥지예술단 ■ 주관 (사)한국국악협회 전라북도지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전라북도, 전라북도의회, 전라북도교육청, 순창군, 순창군의회, 순창교육지원청, 전주교육지원청, (사)전북예총, (사)한국국악협회 순창군지부, 국악타임즈, 도내 방 송사 및 언론사 ■ 심사위원 사계의 권위 있는 분으로 주관 측에서 위촉함. ■ 경연순서 접수순으로 한다.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접수기간 2022년 10월 4일(화) ~ 10월 27일 (목) 오후 5시까지 ■ 참가신청방법 ㅇ 문의전화 ☎ 063) 271-2259 ㅇ E-Mail 접수 jbkugak@hanmail.net (수신확인
2022 구미 전국 농악경연 대잔치 제5회 구미 전국 농악 경연대회 전통 농악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어져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공동체 놀이문화로 최고 권위 있는 공연문화인 농악놀이, 사물놀이는 남녀노소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접목 할 수 있는 생활예술 공연문화로서 역사와 함께 해온 놀이문화이다. 따라서 구미 전국농악경연 대회를 유치하여 한국 농악놀이를 계승, 발전 시켜 나가고자 하며, 구미 지역 무을농악 활성화에 기여 하고자 한다. 1. 개 요 - 일 시 : 2022년 11월 6일(일) 오전 9:00 경 연 - 2022년 11월 6일(일) 오전 9:00 - 장 소 : 구미 새마을운동테마공원 새마을광장 - 대 상 : 일반부 :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외국인 가능) 학생부 : 대한민국 초 · 중 · 고 농악단체 재학생 누구나 - 주 최 : 구미시 - 주 관 : 사)한국농악보존협회 구미지회 - 후 원 : 경상북도, 구미시의회, 구미문화원, 사)구미예총 구미지회, 사)구미무을농악보존회, 2. 참가신청서 등 제출서류 - 신청 기간 : 2022.10. 3(월)부터 10.24(월)까지 선착순 접수(일반부 9개 단체, 학생부 7개단체) - 제출처 : 이
제11회 칠곡 향사 가야금병창 전국대회 1. 대회명칭 제11회 칠곡 향사 가야금병창 전국대회 (예선 비대면 영상 심사, 본선 대면 심사) 2. 대회목적 향사 박귀희 명창은 지역 출신으로 한국 전통음악의 전승, 교육발전과 후계자 양성을 위하여 일생을 바쳤던 20세기 국악계의 어머니이자 가장 대표적인 거목 중 한사람이다. 이렇듯 향사 박귀희 명창을 중심으로 한 가야금병창을 지역문화 예술 컨텐츠로 선점하여 가야금병창 대회를 개최하며, 가야금병창의 계승 및 발전과 국악인의 재발굴 및 저변확대로 민족의식 고취와 한국 문화예술 중심 도시로서의 역할을 하여 칠곡의 문화컨텐츠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함. 3. 주 최 칠곡군 4. 주 관 향사 박귀희 명창 기념사업회 (사)한국전통연희단체총연합회 경북지회 5. 후 원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경상북도교육청, 칠곡문화원, 크라운해태 6. 대회일정 • 일 시 : 2022. 10. 29(토)예선 비대면 영상심사 ~ 10. 30(일)본선 대면 심사 * 예선 2022. 10. 29(토) , 본선 2022. 10. 30(일) • 장 소 : 경북 칠곡군 향사 아트센터 7. 참가자격 • 학생부 ➝ 초 · 중 · 고등학생부(개인 및 단체) •
제30회 전국전통공연예술경연대회 ■ 대회명칭 제30회 전국전통공연예술경연대회 ■ 개최목적 전통공연예술의 발전과 국악 전 분야의 균등발전을 위한 신인 발굴, 육성 및 지원을 통한 전통국악의 계승, 발전에 기여를 목적으로 한다. ■ 대회기간 <예선> 2022. 11. 5.(토) 10:00. 동영상 심사 - 예선(명인부,일반부,신인부,단체부)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동영상 경연이 진행됩니다. 신청서와 영상을 메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본선> 2022. 11. 6.(일) 10:00. 대면 심사 - 본선 및 종합결선 ■ 대회장소 용산아트홀 (용산구청 내) ■ 주최 용산구, (사)한국전통예술진흥회 ■ 주관 (사)한국전통예술발전협의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국악방송, 국악타임즈, 국악신문사 ■ 행사내용 ① 경연대회 : 판소리, 기악, 무용, 민요 – 명인부, 일반부, 신인부(예 · 본선) 무용, 민요 - 단체부(단심) * 동영상 심사 후 협회 홈페이지에 게재, 본선 진출자는 개별 통지함. ② 축하공연 : 전년도 수상자 기념공연 ■ 경연종목 판소리 - 5바탕 중 자유곡 기 악 - 대금, 거문고, 가야금, 아쟁, 피
제40회 전국국악대제전 ■대회요강 본 대회 요강은 코로나-19 또는 진행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국악타임즈 또는 네이버 카페에서 변경 여부를 수시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회개요 ◈ 목 적 전국의 재능있는 국악 신인들을 발굴 · 육성하여 권위있는 국악 등용문으로의 정착과 함께 국악의 올바른 전승, 보존 및 저변확대를 위함이다. ◈ 참가자격 ∙ 일반부 : 만 19세 이상(대학생 포함) ∙ 학생부 : 초 · 중 ·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검정고시 과정중인 자 ∙ 신인부 : 만 19세 이상 비전공자 ※ 초등부와 신인부 전부문 및 중등부 · 고등부 타악부문은 단체참가 가능 (일반부는 단체참가 불가) ※ 참가제한 : 본 대회에서 각 부문별 최고상 수상경력자 또는 타 대회에서 본 대회 각 부문별 최고상과 동일한 훈격의 수상경력자 ◈ 경연부문 ∙ 일반부 : 관악 · 현악 · 가야금병창 · 무용 · 민요 · 타악 ∙ 학생부 : 관악 · 현악 · 가야금병창 · 민요 · 타악 ∙ 신인부 : 기악 · 무용 · 민요 · 타악 ◈ 대회 일정 ∙ 예선 일시 : 2022년 10월 22(토)일 오전 10시 장소 : 경주시 화랑마을 화백관(경북 경주시 석현로 123) ∙ 본
제30회 「임방울국악제」전국대회 국악의 본고장으로서 모든 시민이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국악에 접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 국악의 향수를 함께 느낄수 있도록 하고 임방울국악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타 국악경연대회와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1. 대회개요 가. 대회명칭 제30회 「임방울국악제」전국대회 나. 대회기간 2022. 10. 14 ~ 10. 17(4일간) ① 국악경연 ㆍ학생부 : 10. 15(토) ㆍ일반부ㆍ명창부 : 10. 16(일) ~ 10. 17(월) ② 부대행사 ㆍ임방울판소리장기자랑 : 10. 14(금) 09:10~ ㆍ전 야 제 : 10. 14(금) 18:20~ 주 최 : 광주광역시 주 관 : (사)임방울국악진흥회 특별후원 : 조선일보사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SBS, TV조선, KBC광주방송, 광주국악방송, (사)한국국악협회 협 찬 : (재)방일영문화재단, 광주은행, 삼성전자(주), (재)유당문화재단 다. 국악경연 종목별 장소 2. 참가자격 가. 대한민국 국민(재외 동포)로서 19세 이상의 남녀 및 학생(초ㆍ중ㆍ고등학생) ※ 단 판소리 명창부는 만 30세 이상 나. 국가 또는 시도지정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또는 다른 대회에서
제12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 · 육성하는 권위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는데 그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일시 예선 : 2022년 10월 23일 (일) 오전10시 (비대면 영상 심사) 본선결승 : 2022년 10월 30일 (일) 오전10시 (고등/일반/신인/명창부) 대면심사 본선경연 종료 후 축하공연 마치고 시상식 진행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비대면 수상자 상장수령은 주소로 우편발송합니다) * 예선은 비대명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 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본선경연, 축하공연 영상 “Youtube 이호연TV” 채널에서 검색하세요 ■ 장소 예심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39길 47, Mstory 아트홀 본선 · 결승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6,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풍류극장1층 ■ 주최/주관 (사)한국의소리
제3회 2022 한성백제문화제 전국국악경연대회 2천년 전 찬란한 문화를 꽃 피웠던 백제 한성기의 옛 도읍지인 서울 송파에서「제3회 2022 한성백제문화제 전국국악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 계승 · 발전과 우수 국악인을 배출하고 전통음악을 통한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 제공한다. ■ 추진개요 전통문화예술 계승 · 발전을 위한 전국규모의 국악경연대회 제1회 개최시부터 지금까지 매회 약 400여명 이상의 참가자들의 경연으로 송파구에서 우수한 전통문화예술인 발굴 ■ 대회개요 ◆ 대회명칭 제3회 2022 한성백제문화제 전국국악경연대회 ◆ 대회일시 1. 예 선 - 2022년 10월 15일(토) / 송파구민회관 2. 본선/종합결선 - 2022년 10월 16일(일) / 서울놀이마당 ◆ 주최 / 주관 : (사)한국국악협회 서울특별시지회 송파구지부 ◆ 후 원 교육부, 서울특별시, 송파구, 서울특별시의회, 송파구의회, 송파문화원, (재)송파문화재단,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사)한국국악협회, 국악방송/라디오, 국악타임즈, 고흥곤국악기연구원, (주)한울림국악기, (사)일통고법보존회 서울특별시지회, (주)이낙근찹쌀떡베이커리 ■ 참가자격 ◆ 초/중/고등부 대회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