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似而非(사이비)

 

似而非(사이비)

 

사이비(似而非)란 위선자요

가면(假面)이요 사기꾼일세

 

물건이면 가짜이고

행동이면 위선(僞善)이지

 

이 세상

어지럽게 만들지

그야말로 ‘덕(德)의 도적‘

 

출전(出典) : <孟子(맹자)> 盡心下篇(진심하편)

어의(語義) : 비슷하나 아닌 것. 같은 것 같으나 다른 것.

                  - 겉으로 보기엔 비슷한 것 같으나 실제로는 아주 다름.

 

 

孟子(맹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似而非(사이비)란, 사람으로 보면 僞善者(위선자)요 사기꾼이다. 사이비란, 물건으로 보면 가짜요 模造品(모조품)이다. 사이비란, 행동으로 보면 위선이요, 가면이요, 術策(술책)이다. 유사 종교니 유사품이니 하는 것도 다 사이비를 말한다. 이 세상을 어지럽게 만드는 것 중에 사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클 것이다.”

 

또한 맹자는 제자 萬章(만장)과 이런 문답을 한다. 만장이 물었다.

 

“온 고을 사람들이 다 鄕愿(향원)을 原人(원인 : 점잖은 사람)이라고 하면, 어디를 가나 원인일 터인데, 孔子(공자)께서 ‘德(덕)의 도적’이라고 하신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비난을 하려 해도 비난할 것이 없고, 공격을 하려 해도 공격할 것이 없다. 시대의 흐름에 함께 휩쓸리며 더러운 세상과 호흡을 같이 하여, 그의 태도는 충실하고 신의 있는 것 같으며, 그의 행동은 청렴하고 결백한 것 같다. 모든 사람들도 다 그를 좋아하고, 그 자신도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는 함께 참다운 성현의 길로는 들어갈 수가 없다. ‘德(덕)의 도적’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孔子(공자)는 말씀하시기를,

 

“나는 비슷하나 아닌 것을 미워한다. 가라지(밭에 난 강아지풀)를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곡식의 싹을 어지럽게 할까 두려워서이고, 재주 있게 말을 둘러대는 자를 미워하는 것은 그 자가 義(의)를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口辯(구변)만 좋은 자를 미워하는 것은 그 자가 신용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淫亂(음란)한 정나라의 음악을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正樂(정악)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鄕愿(향원)을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德(덕)을 어지럽게 할까 두려워함이다. 군자란 도덕의 근본 이치를 반복 실천할 따름이다. 세상에 아첨하는 법은 없다. 올바른 길을 행하면 민중들도 따라온다. 그렇게 되면 세상의 사악도 없어질 것이다.”

 

<原文> 孔子曰 惡似而非者(오사이비자) 惡莠恐其亂苗也(오유공기란묘야) 惡妄恐其亂義也(오망공기란의야) 惡利口恐其亂信也(오리구공기란신야) 惡鄭聲恐其亂樂也(오정성공기란악야) 惡紫恐其亂朱也(오자공기란주야) 惡鄕愿恐其亂德也(오향원공기란덕야)

 

※ 鄕愿(향원) : 守令(수령)을 속이고 양민에게 弊害(폐해)를 입히던 촌락의 土豪(토호 : 향촌을 토착화한 지배 세력). 함부로 土木(토목) 사업을 일으켜 백성에게 폐해를 끼치거나, 還穀(환곡 : 백성에게 봄에 꾸어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받아들이던 곡식)을 중간에서 着服(착복)하여 백성에게 그 혜택이 미치지 못하게 하거나, 定數(정수) 이외의 貢物(공물)을 착복하거나, 촌민을 불러 모아 수시로 사냥을 하여 농사를 방해하는 등의 일을 하던 자를 일컫는다.

 

※ 正樂(정악) : ‘속되지 아니한 雅正(아정)한 音樂(음악)’이라는 뜻으로,

① 國樂(국악) 가운데 넓은 의미의 雅樂(아악)의 일컬음.

② 雅樂(아악) 가운데 궁중 음악에 대하여, 민간에 계승되어 온 아정하고 고상한 純正(순정) 음악의 일컬음. 風流(풍류)와 正歌(정가)로 나뉨.

 

※ 雅樂(아악) : 중국 古樂(고악) 계통의 음악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고려 ‧ 조선 때에 궁중의식에서 연주된 전통 음악. 좁은 뜻으로는 ‘文廟祭禮樂(문묘제례악 : 공자 사당의 제사 때 연주하는 음악)’만을 가리키고, 넓은 의미로는 궁중 밖의 민속악에 대하여 ‘궁중 안의 의식에 쓰이던 음악’을 총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