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타임즈 송인숙 기자 | 글로벌 육아 반상회 콘셉트로 다양한 국적을 가진 아빠들의 리얼한 육아를 선보이고, 육아 고민을 나누며 시청자들의 호평을 샀던 MBC ‘물 건너온 아빠들’이 정규 편성되어 오는 8월 28일 첫 방송된다. ‘물 건너온 아빠들(연출 임찬)’은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는 외국인 아빠들의 일상을 들여다보고 함께 육아 고민을 나누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이다. 육아 반상회답게 ‘아이의 스마트폰 사용’, ‘사교육 시켜야 하나?’ 등 실제 육아 현장에서의 고민거리를 허심탄회하게 토론하며 시청자의 공감은 물론, 외국인 아빠들의 육아 방식을 비교해 볼 수 있어 호평을 얻었다. 또한 ‘BBC 방송사고’의 주역인 로버트 켈리 교수의 자녀 예나와 유섭의 폭풍 성장한 모습과 알베르토의 딸 아라가 방송에서 최초 공개되는 등 많은 랜선 이모, 삼촌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정규 편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정규 편성된 ‘물 건너온 아빠들’의 MC로는 지난 파일럿에서 한국 엄마, 아빠를 대표해 글로벌 육아 반상회를 이끌어갔던 장윤정과 인교진, 그리고 두 사람과 함께 '신우, 이준 엄마' 김나영이 새 MC로 활약할 예정이다. 신우, 이준 두 아이를 키우는 일
국악타임즈 송인숙 기자 | 가수 채윤이 '못'으로 애절한 감성을 과시했다. 지난 8일 방송된 SBS FiL, SBS M '더트롯쇼'에 채윤이 출연했다. 이날 방송에서 채윤은 신곡 '못'으로 무대를 장식하며 시청자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채윤은 간드러지는 목소리와 독보적인 감성으로 '못'을 소화하며 곡의 애절함을 더욱 증폭시켰다. 여기에 하얀 블라우스와 연보라색 미니스커트를 매치해 사랑스러운 비주얼로 눈길을 끌었다. 지난 6월 발매한 채윤의 신곡 ‘못’은 채윤의 담백하고 서정적인 보이스를 오롯이 감상할 수 있는 정통 트롯 발라드 곡으로, 스타 작사가 김순곤이 작사에 참여해 눈길을 모았다. 김순곤은 조용필, 나미, 김완선 등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하며 ‘초혼’, ‘꽃길’ 등 수많은 히트곡을 탄생시킨 바 있다. 지난 2019년 ‘삼삼하게’로 데뷔한 채윤은 지난해 ‘전국 TOP10 가요쇼’에서 영텐 2기로 활동했다. 또한 송준근과 ‘으라차차 내 인생’을 발매하며 듀엣 활동을 펼치는가 하면, 매일경제TV '달리는 왕진버스'의 공동 MC로 활약했다. 한편, 이날 ‘더트롯쇼'에는 채윤을 비롯해 김희재, 한혜진, 서지오, 화연, 강혜연, 조명섭, 풍금,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와신상담(臥薪嘗膽) 월(越)과 싸워 크게 패한 오(吳)나라 태자 ‘부차(夫差)’ 원수 갚자 이를 갈며 섶 위에서 잠을 잤지 ‘구천(勾踐)’도 쓸개 맛을 보며 패전(敗戰) 굴욕 씻었네 * 출전은 <사기(史記)> 월세가(越世家) · <십팔사략(十八史略)>, 땔나무 가지에 누워 자고, 쓸개를 맛보다.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해 온갖 어려움을 참고 견딤. 중국 춘추시대 기원전 496년, 취리[절강성 가흥]에서, 越(월)왕 勾踐(구천)과 싸워 크게 패한 吳(오)왕 闔閭(합려)는, 적의 화살에 부상한 손가락의 상처가 악화하는 바람에 목숨을 잃었다. 임종 때 합려는 태자인 夫差(부차)에게 반드시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고 遺命(유명 : 임금이나 부모가 죽을 때에 남긴 명령)했다. 오왕이 된 부차는 부왕의 유명을 잊지 않으려고 ‘섶 위에서 잠을 자고[臥薪(와신)]’,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들에게 방문 앞에서 부왕의 유명을 외치게 했다. “부차야, 월왕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처럼 밤낮 없이 복수를 맹세한 부차는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면서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제32회 정읍사 국악경연대회(9월 3-4일) ■ 대회 개요 ◈ 목적 전통예술의 조기경험을 통한 국악발전의 계기가 되어 건전한 정신함양으로 전통예술보존육성과 국악인구의 저변확대로 국악의 고장으로써 위상을 계승확립하고 문화예술 창달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일시 및 장소 일시 : 2022년 9월 3-4일 (코로나 확산 상황에 따라 비대면 대회로 개최) 장소 : 정읍 연지아트홀 (추후 장소 변경가능) ◈ 경연부문 참고사항 1. 전년도 대회 동일부분 대상수상자 참가 불가 2. 신인장년부 참가는 해당분야 전공자의 참가 불허합니다.(순수 동호인 참가) ■ 비대면 대회 안내사항 ◈ 접수기간 2022년 8월 1일 ~ 2022년 9월 2일 ◈ 접수비 참가 및 접수비 없음 ◈ 접수처 - 이메일 접수 junikis@naver.com (사)한국전통예술 진흥회 정읍지회 사무국장 010-4479-7854 - 신청서는 (사)한국전통예술 진흥회 대회 사이트(https://cafe.naver.com/kjeongup) 국악타임즈(https://gugaktimes.com)에서 다운로드 가능 ◈ 필수사항 - 참가신청서 선명한 정면사진 부착 - 신분증 사본(본인 확인 가능서류) 제출 – 본인 확인
국립국악원 임인진연, 집중 호우로 12월로 연기 지난 8월 8일(월) 서울 서초 지역의 집중 호우로 국립국악원 공연장 시설물의 침수 피해를 입어 오는 8월 15일(화)까지 예정된 국립국악원 임인진연 공연을 12월로 연기하게 되었다. 토요 명품공연도 취소가 되었고, 토요국악동화는 예정대로 공연될 예정이다.
제29회 달구벌 전국국악경연대회(10월 1일) ■ 일 시 : 2022년 10월 1일 ■ 장 소 : 대구광역시 청소년 수련원 (대구 달서구 앞산순환로 180) ■ 주 최 : 사)영남판소리보존회 (www.pansoriyn.com) ■ 주 관 : 사)영남판소리보존회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교육청, (사)한국예총 대구광역시연합회,국제기부천사클럽, 국악디지털신문, (주)국악신문 ■ 협 찬 : (주)피플홀딩스 , ㈜PJ ■ 목 적 전통문화의 계승과 국악인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우수한 국악인재 발굴을 통하여 수준 높은 전통문화 예술을 창달하고자 한다. ■ 방 침 전국 규모의 국악경연대회로 악, 가, 무 국악전반에 대한 종합경연대회로 진행하며 공정한 심사를 통해 국악인재 및 신진국악예술인을 발굴 육성 지원한다. ■ 행사 개요 가. 일 시 - 경연 : 2022년 10월 1일(토) 9:00 ~ 18:00 ※ 종목별 접수확인 및 경연 시간 - 기악, 무용 오전 9시 접수 확인 → 경연 9시 30분 경연시작 - 판소리, 고법 오후 12시 접수 확인 → 경연1시 시작 - 축하공연 및 시상식 17:00 시작 나. 장 소 : 대구광역시 청소년 수련
제11회 판소리명가 장월중선 명창대회(9월24-25일) ■ 일시 2022년 9월 24일(토) 단심제 : 초등부, 중등부, 신인부 예선, 본선 : 고등부, 일반부 2022년 9월 25일(일) 고등부, 일반부 (본선, 결선) ■ 장소 : 더케이호텔, 보문탑야외공연장 ■ 주관 : (사)한국판소리보존회 경북지부 ■ 경연부문 · 일반부 : 가야금(기악 · 병창), 판소리, 민요, 타악 · 학생부 : 가야금(기악 · 병창), 판소리, 민요, 타악 · 신인부 : 가야금(기악 · 병창), 판소리, 민요, 타악 ■ 경연시간 ※종합결선 경연시간은 대회사정에 따라 조정함. ■ 참가대상 - 일반부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만 18세 이상 남, 여 (대학생, 전공자포함) - 신인부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만 18세 이상 남, 여 (전공자 제외) - 학생부는 대한민국의 초, 중,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검정고시과정중인 자(학생연령준함) ※ 참가자 유의사항 1. 타악 학생부는 중등부와 고등부가 한 팀으로 구성할 수 있음. (중학생은 고등학생과 한 팀으로만 참가 가능함) 2.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대통령상 또는 장관상(국회의장상포함) 훈격의 수상경력자 출전불가 3. 신인부 참가제한사항: 본대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오월동주(吳越同舟)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는 오래된 원수지간(怨讐之間) 그러나 한 배 타고 거센 풍랑 만났다면 제 목숨 아까운 탓으로 서로 돕게 된다지 * 출전은 <손자(孫子)> 구지편(九地篇),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한 배에 타고 있다. 아무리 원수지간이라도 위험에 처하면 서로 협력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 또 사이가 좋지 못한 사람이 한자리에 있어 어색하게 되는 경우를 말하기도 함. 중국 春秋(춘추)시대 齊(제)나라의 유명한 책략가인 孫子(손자, 손무의 경칭)의 兵法(병법) 九地篇(구지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兵士(병사)를 쓰는 九地(구지 : 아홉 개의 땅) 중, 마지막이 死地(사지)로 나가 싸우면 살 길이 있고, 그렇지 않고 겁이나 먹고 웅크리고 있으면 반드시 멸망하고 마는 그런 땅이다. 사지는 적과 싸워 이기지 못하는 한 후퇴도 방어도 불가능한 막다른 골목을 말한다. 韓信(한신) 장군의 背水陣(배수진)도 바로 이 사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런 곳에서는 ‘必死則生(필사즉생)’의 각오가 필요하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은 병사들의 일치된 戰意(전의)다. 합심하여 난국을 돌파하면, 活
국악타임즈 송인숙 기자 | ‘뉴페스타’가 변함없는 목소리로 감동과 환희를 선물할 신승훈과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전율을 일으킬 이소정의 무대로 시청자를 사로잡는다. 오늘(9일) 방송되는 JTBC 음악예능프로그램 ‘뉴페스타’의 ‘No.1 페스티벌’ Day 2에는 명품 보컬 이소정, 감성 보컬리스트 김재환, 독보적인 솔로 아티스트 선미, 발라드 황제 신승훈이 출격하는 가운데 이소정, 신승훈의 특별한 무대가 예고돼 기대를 모으고 있다. 먼저 그룹 레이디스 코드의 메인 보컬 이소정이 신곡 ‘내가 제일 사랑했던 노래’와 자우림의 ‘매직 카펫 라이드’로 명불허전 가창력의 끝판왕을 보여준다. 특히 ‘매직 카펫 라이드’는 바이올리니스트 대니 구와 함께해 가요와 클래식의 완벽한 컬래버레이션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어 과거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출연자와 심사위원으로 만났던 이소정과 신승훈의 특별한 인연이 소개되는 가운데 신승훈이 오랜만에 재회한 소감으로 “(이소정이) 예전엔 노래를 부를 줄만 알았는데 요즘은 노래를 가지려고 한다”라며 남다른 애정을 전한다. 이후 이소정이 ‘No.1 페스티벌’ 라인업 중 컬래버레이션 해보고 싶은 아티스트를 묻는 질문에 지코를 선
국악타임즈 송인숙 기자 | 걸그룹 크랙시(CRAXY)가 미니 3집의 음원 일부를 스포일러했다. 크랙시(우아, 채이, 카린, 혜진, 수안)는 지난 8일 오후 공식 SNS를 통해 세 번째 미니앨범 ‘WHO AM I (후 엠 아이)’의 하이라이트 뮤직비디오 스포일러 영상을 공개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타이틀곡 ‘UNDERCOVER (언더커버)’, 더블 타이틀곡 ‘Requiem (레퀴엠)’을 비롯해 ‘Interlude : Who am I (후 엠 아이)’ ‘LION (라이언)’, ‘Real (리얼)’, ‘Butterfly (버터플라이)’까지 총 여섯 트랙의 하이라이트 음원이 담겨 있어 듣는 이들의 귀를 단숨에 사로잡았다. 타이틀곡 ‘UNDERCOVER’는 상대방에게 숨어들어 정복하겠다는 지배 욕망을 날카롭고 다크하게 그려낸 곡이다. 후속 타이틀곡 ‘REQUIEM’은 참회와 구원의 바람을 기승전결의 뚜렷한 구성과 웅장한 시네마틱 사운드로 담아냈다. 크랙시는 더블 타이틀곡을 비롯한 다양한 음악적 스타일로 구성된 트랙을 통해 내 안의 또 다른 악과 마주한 다섯 색의 타락을 노래할 계획이다. 앞서 크랙시는 수록곡 ‘Interlude : Who am I’
제3회 인천 전통예술 경연대회 1. 대회 목적 전통문화예술의 대중화와 인천지역 전통문화 예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우리지역 전통예술을 하는 동호인들의 기능향상과 건전 생활문화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나아가 문화예술의 도시 인천의 위상을 드높이고자 한다. 2. 대회 개요 행사명 : 제3회 인천 전통예술 경연대회 일시 : 예선(동영상 심사) - 2025. 5. 02(금) / 본선 - 2025. 6. 07(토) 예선심사 결과 발표 – 2025. 5. 03(토) - 예선 비대면 동영상 심사 / 본선 및 종합결선 10:00 ~ 12:00 장소 : 인천대공원 어울큰마당(구 야외공연장) 주최/주관 : (사)인천남사당놀이보존회 후 원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회 3. 대회 요강 대회 참가자격 - 전통예술을 사랑하고 인천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순수 아마추어(동호인) - 사물놀이는 4인, 풍물놀이는 25인 단체 - 무용·민요 : 개인 또는 2인 이상 단체 경연부문 - 민속 부문 : 사물놀이(개인놀이 가능), 풍물놀이 - 무용 부문 : 궁중무용, 민속무용, 창작무용 - 민요 부문 : 경·서도민요, 남도민요, 토속민요 참가신청 1) 접수기간 : 2025년
제27회(통합59회) 여수진남전국국악경연대회 개최요강 1. 대회목적 여수는 선조26년(1593)부터 좌수영 수군통제영으로 취고수청과 신청 그리고 교방청을 두어 향토 예능인을 양성했던 역사적 배경을 지닌 고장이다. 민족 고유의 전통음악을 보존하고자 1967년 제1회 진남제 판소리명창대회를 시작으로 국악영재의 등용문으로써 그 역할을 다해왔다. 우리나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조소녀(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춘향가), 안애란(전라남도 무형유산 제29-2호 춘향가), 김향순(전라남도 무형유산 제29-1호 흥보가), 이임례(광주광역시무형유산 제14호 심청가), 이명희(대구광역시 무형유산 제8호 흥보가), 전인삼(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윤진철(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적벽가), 이난초(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흥보가), 송재영(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심청가), 염금향, 장문희(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심청가), 등 여러 명창들을 배출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는 대회다. 특히 진남전국국악경연대회의 명칭의 의미처럼 취고수청과 신청, 교방청이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판소리, 고수, 기악, 무용 부문의 인재발굴과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수상자들을
제30회 대통령상 한밭국악전국대회 요강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1. 목적 1947년 대전국악원을 창설하였고, 대전시 무형유산보유자로 2명의 직계제자를 배출한 김숙자 국가무형유산 『도살풀이춤』 보유자의 위업을 기리고 최고수 명무선발·육성사업과 국악 모든 전공분야가 참여하는 종합대회로 국가 무형유산의 계승발전에 크게 기여하고자 함. 2. 대회기간 6월 21일(토) - 학생부(단심제), 일반부, 명무부 예선 6월 22일(일) - 일반부 본선, 학생부 종합경연, 일반부 종합경연, 명무부 본선, 시상식 3. 주최 대전광역시 · (사)한밭국악회 4. 후원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국립국악원. 대전광역시교육청. kbs대전. 대전mbc. TJB. 국악방송. 대전일보. 중도일보. 충청투데이. 금강일보. 대전뉴스. 충청뉴스. 충청매거진 5. 경연 6개 종목 * 무용부문 – 전통춤 * 기악부문 – 관악, 현악 * 성악부문 – 정가, 민요, 판소리 6. 참가자격 * 명무부 - 다음 중 1종 이상의 해당 전공자 ▷ 만 30세 이상의 대학 무용과 전공자 ▷ 국가, 시도 무형문화재 전수자 ▷ 전국무용경연대회 우수상 수상경력 이상(15년 이상 무용 전공자) * 일반부
The 5th MAM Contest (제5회 맘 콘테스트) 제5회 밀양아리랑 창작소리 콘테스트 (The 5th Miryang Arirang creative Music Contest) 밀양아리랑의 새로운 발전방향 제시와 현대적 시선에서 재창조된 다양한 주제의 밀양아리랑 창작물 발굴을 위한 대회입니다. 여러분들의 열정과 신선한 아이디어로 탄생할 밀양아리랑을 들려주세요! 2025. 3. 7. (재)밀양문화관광재단 이사장 대회 개요 ❍ 대 회 명: 국문 제5회 밀양아리랑 창작소리 콘테스트 영문 The 5th MAM Contest (The 5th Miryang Arirang creative Music Contest) ❍ 대 회 일: 2025. 5. 25(일) ❍ 장 소: 제67회 밀양아리랑대축제 무형유산 공연장 특설무대 ❍ 주최/주관: 밀양시, 밀양문화관광재단 / 전문예술단체 퓨전국악예술단 연 참가 개요 ❍ 접수부문: 전공자, 예술인 및 전문예술단체 포함 ※시·군·도립 예술단제외 ❍ 접수기간: 2025. 4. 7.(월) ~ 5. 2.(금) 18:00까지 ‣ 접수 시 직접 촬영한 5분 내외 영상 필수 첨부 (의상 자유) ‣ 반드시 라이브로 불러야 하며 최근 6개월 이내
선운 임이조 명무의 정신계승, 전통과 창작이 공존하는 경연무대 펼쳐져... (사)한국전통춤연구회가 주최하고 선운임이조춤보존회, (사)한국전통문화예술원이 주관하는 2025 선운 전국무용경연대회가 오는 3월 15일(토) 예선과 본선을 은평문화예술회관 대극장에서, 결선은 10월 6일(월) 광화문광장 놀이마당(광화문전통페스타)에서 개최된다. 이번 대회는 한국무용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선운 임이조 명무의 정신을 이어받아 전승과 창조의 토대를 마련하고, 한국무용 전공자와 신인 무용인들에게 다양한 무대 경험과 표현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전통과 창작의 경계를 허물고 한국무용 전 장르가 참여할 수 있는 무대로, 깊이 있는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창작의 가능성을 넓히는 장이 될 것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해외에서 한국무용을 전승하는 예술가들도 참가할 수 있도록 국제부를 신설하여,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무용인들에게도 기회를 제공한다. 경연은 8개 부문으로 학생부(초·중·고등부), 국제학생부, 신인부(비전공자), 국제일반부, 일반부, 명무부로 나뉘며, 한국무용의 전통과 창작을 중심으로 개인과 단체(2인 이상)로 참가할 수 있다. 대회 참가요강 및 신청서류는
제1회 인천심청국악제 전국판소리경연대회 - 대회 요강 □ 대회 개요 ◦ 일 시: 2024. 12.28일 (토/ 1일간) ◦ 장소 : 인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 주최 : 인천심청국악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추진위원회 ◦ 주관 : 남도민요판소리연구소 ◦ 후원: 사)국악협회 사)서울전통문화협회, 사)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사)아시아문화예술협회, 사)중국동포연합중앙회, 국악타임즈, 국악신문, 사랑희망나눔운동본부 ◦ 경연부문 ▸판소리 : 학생부(초등부/ 중고등부), 일반부, 신인부, 다문화가족부 * 다문화가족부(개인및 단체포함): 판소리 민요 장르불문 □ 참가자격 ▸ 학생부: 기준일 기준 초, 중,고 재학중인 학생 ▸ 일반부: 만 19세이상의 대한민국 국민(대학 전공자포함) ▸ 신인부: 만 19세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다문화가족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로서 연령에 무관 □ 참가 신청 ▸ 제출서류: 참가신청서(사진부착), 학생부는 학생증사본 및 재학증명서1부 * 신청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신청금: 없음 ▸ 신청방법: 신청서 다운받아 작성하여 제출 국악타임즈 홈페이지(www.gugaktimes.com) ▸ 신청기간: 2024.12.18~2024. 1
*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0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4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21c를 맞아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높이며 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공정하며 엄격한 대회를 운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일시 예 심 : 2024년 11월 4일(월) 오전 10시 (비대면 영상 심사) 본 선 : 2024년 11월 10일(일) 오전 10시 (학생 고등/신인/일반/명창부) 대면 심사 시 상 : 결승종료 후 역대수상자 축하공연 마치고 단심 수상하신 분들과 같이 시상식 진행 ※ 예선은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 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 예선결과는 한국의소리 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대면 단심 경연하신 수상자분들도 본선 시상식에 꼭 참석하여 상장수령 합니다. ※ 본선경연, 축하공연 영상은 “Youtube 이호연TV” 채널에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제27회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1. 2.(토-예선) ~ 11. 3.(일-본선) ■ 장소 창원시늘푸른전당(경남 창원시 의창구 두대로 97/☎055-712-0372) ■ 주최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 주관 도지정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경상남도 판소리보존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교육청, 경남신문,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 MBC경남, 창원KBS, 경남도민일보, 경남메세나협회 특별후원 : 주식회사 부경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기 악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요·가야금 병창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무 용 : 초·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풍 물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 참가비 전체 없음. ■ 고수비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