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핫이슈

전체기사 보기

[단독취재] 국립국악원장, 1년 넘게 공석… ‘서울대·국고 카르텔’ 논란과 원로·현장 인사들의 경고

무형유산 보유자 33인의 입장문… “전통문화 가꾸는 본연의 역할로 돌아가야 공석 장기화, 문화정책에도 ‘빨간불’

국립국악원장, 1년 넘게 공석… ‘서울대·국고 카르텔’ 논란과 원로·현장 인사들의 경고 국립국악원장 자리가 1년 넘게 비어 있는 가운데, 인선 구조와 정부의 문화행정 방식에 대한 국악계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김영운 전 원장 퇴임 이후 후임 임명은 여러 차례 공모에도 불구하고 무산됐으며, 올해 1월 진행된 마지막 공모에서도 문체부 내부 인맥 중심의 인선이 이뤄졌다.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및 명예보유자 33인은 지난 4월 7일 공동 입장문에서 국립국악원장 인선과 관련해 문화체육관광부를 강하게 비판했었다. 무형유산 보유자 33인의 입장문… “전통문화 가꾸는 본연의 역할로 돌아가야 이들은 “국립국악원 조직개편과 행정직 공무원의 원장 임명은 교육·연구 기능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며 “국악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최적임자를 찾기 위해 현재 공모 절차를 중단하고 재공모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오랜 역사 속에서 한민족의 풍부하고 섬세한 감성이 빚어낸 전통문화가 오늘날 한류의 바탕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이 같은 전통문화를 가꾸고 지원해야 할 문체부가 국악계를 폄훼하고 편 가르기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