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기념 ‘인천아리랑 연가’… 인천의 흥과 한(恨)을 무대에 담다
전통연희단 잔치마당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오는 8월 13일(수) 오후 7시 30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창작공연 <인천아리랑 연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인천광역시가 후원하는 ‘2025 지역대표예술단체 육성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된 무대로, 인천의 해양문화와 농경문화를 토대로 지역민들의 삶과 정서를 전통예술로 풀어낸 창작 작품이다.
<인천아리랑 연가>는 1883년 인천 제물포 개항 이후 외세에 저항하며 불렸던 아리랑과 어촌, 농촌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중들의 노동요와 이야기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했다. 어부들의 ‘만선가’, 농부들의 ‘세벌매기’ 등 전통 선율을 바탕으로 한 음악과 춤, 연희가 어우러져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사진경을 염원하는 첫 장면을 시작으로, 어촌의 정서를 담은 ‘만선의 꿈’, 농경문화의 상징적 장면인 ‘풍년의 꿈’, 아슬아슬한 줄타기와 익살이 펼쳐지는 ‘줄 위의 광대’가 이어진다. 이후 역동적인 사물놀이와 동서양 악기의 조화를 담은 ‘신모듬’, 배우와 관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연희판놀음’으로 무대는 절정을 맞이한다.
이번 무대는 전통연희단 잔치마당 소속 청년 및 중견 예술인 30여 명이 출연하며, 서광일 대표가 제작을 총괄하고 김병훈이 대본과 연출, 김호석이 예술감독을 맡았다. <인천아리랑 연가>는 지난해 부평아트센터 등지에서 공연된 후 호평을 받은 작품으로, 올해는 이를 바탕으로 더욱 탄탄하게 재구성된 무대로 관객을 찾는다.
공연의 가장 큰 특징은 전통과 현대, 동서양의 음악적 융합이다. 서도소리인 수심가토리 선율에 재즈 리듬을 접목하고, 농민 노동요를 기반으로 한 창작무용과 연극적 구성의 연희판놀음 등 다양한 장르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다. 이를 통해 <인천아리랑 연가>는 단순한 전통의 재현을 넘어 인천의 역사와 정체성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
이번 공연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인천시민 초대 형식으로 진행되며, 예매 및 문의는 전통연희단 잔치마당(032-501-1454)을 통해 가능하다.
전통연희단 잔치마당은 1992년 창단 이래 인천을 기반으로 풍물, 탈춤, 줄타기 등 전통연희의 원형을 보존하고 창작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전통예술의 현대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인천아리랑 연가> 역시 시민과 함께 호흡하는 전통문화 축제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