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공연] 젊은 춤꾼 송현주 명인전... 무(舞)와 악(樂)의 숨결을 무대에 담다

국악전용극장 잔치마당
11월 26일 오후 7시

 

젊은 춤꾼 송현주 명인전... 무(舞)와 악(樂)의 숨결을 무대에 담다

 

국악전용극장 잔치마당이 오는 11월 26일 오후 7시, ‘11월 문화가 있는 날’ 기획으로 젊은 춤꾼 송현주 명인전을 선보인다. 이번 무대는 전통춤의 원형과 현대적 감각이 한자리에 만나는 특별한 자리로, 평남수건춤·진도북춤·설장구·피리독주·오북춤 등 우리 춤과 연희의 미학을 집약한 다섯 작품이 연달아 펼쳐진다.

 

서막을 여는 평남수건춤은 서도소리를 반주로 하는 북녘 지역 고유 춤으로, 흰 수건의 선율과 몸짓을 통해 인간의 내면과 삶의 정서를 서정적으로 풀어내는 작품이다. 이북5도 무형유산 이수자인 송현주는 원형의 결을 지키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담은 해석으로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진도북춤은 남도 진도 지역의 흥과 기백을 고스란히 담아낸 작품으로, 양손 채를 활용한 빠르고 강렬한 북놀이가 남도춤 특유의 생명력과 장단의 힘을 드러내며 무대를 이끈다.

 

세 번째 무대는 농악놀이에서 비롯된 개인놀이 ‘설장구’로, 전통 장단 위에 펼쳐지는 즉흥성과 기술, 연희자의 신명이 한데 어우러지는 작품이다. 구정놀이·굿거리·동살풀이·덩덕궁이로 이어지는 장단 구성은 송현주 명무의 리듬 해석과 유려한 춤사위로 살아나며 설장구 본연의 매력을 더욱 극대화한다.

 

송현주 명무

 

이어 전통예술단 호연의 김진미 단원이 선보이는 피리 독주 무대에서는 비틀즈의 명곡 ‘Let It Be’가 한국적 음색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서양 팝 음악의 익숙한 선율에 피리의 떨림과 시김새가 더해지며 전통 관악기가 지닌 농현의 미학이 원곡의 감성을 확장시키는 시간이 될 전망이다. 동·서양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넘어서는 이 무대는 피리라는 악기의 현대적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한다.

 

공연의 클라이맥스인 오북춤에서는 무용수 뒤와 좌우에 놓인 다섯 개의 북을 활용해 춤과 연주가 하나로 연결되는 장엄한 장면이 펼쳐진다. 회전과 역동적 동작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긴장감 속에서 정중동의 미학이 선명하게 드러나고, 오북의 울림이 공간을 채우며 무대의 밀도를 높인다. 여기에 송현주의 세밀한 춤선, 장구 이은미 단원의 안정된 리듬, 김진미 단원의 태평소가 더해져 무·악이 하나의 호흡으로 이어지는 완성도 높은 무대를 만들어낸다.

 

송현주 명무는 제39회 전주대사습놀이 농악부문 장원, 제16회 KBS 국악대경연 사물놀이 부문 최우수상, 제14회 평택 지영희 전국국악경연대회 무용부문 최우수상 등 다양한 수상 경력을 지닌 차세대 전통예술가다. 전통예술원 호연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전통춤과 연희 전반에서 탄탄한 기량을 인정받고 있는 그는 이번 공연을 통해 젊은 명인의 전통 계승 의지와 창작 역량을 다시 한번 확인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명인전은 지역 문화 향유의 폭을 넓히고 전통 공연예술의 저변을 확대하는 의미 있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관객은 몸짓과 라이브 연주가 어우러지는 깊은 울림의 무대를 마주하게 될 것이다. 공연은 전석 1만 원이며, 관객이 감동한 만큼 공연료를 지불하는 ‘감동 후불제’도 함께 운영된다. 문의: 032-501-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