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彈劾) 한만규 ‘공정’ ‘상식’ 씨앗들을 화분에 뿌려놓고 거짓과 욕망들로 새싹들을 키우더니 끝내는 내란(內亂)의 꽃 피워 ‘탄핵’ 열매 맺혔구나 사랑을 찾아서 한만규 푸르른 생각들이 거리마다 떠도는 밤 이 밤도 외로운 밤 어데로 가야 하나 참 사랑 그 그늘 찾아 오늘밤도 꿈속으로 허망(虛望) 한만규 오호라 인생이란 허망한 꿈이로다 무엇을 얻었는가, 그 무엇을 잡았는고 이대로 눈감아지면 한바탕 꿈 아니려나
눈 속의 홍매(紅梅) 이창일 머금은 영롱 이슬 아가씨 미소인가 고통이 울음 되어 새 아기를 품었구나 뜨겁게 살아온 삶이여, 눈물 속에 어여뻐라 은행잎 이창일 사랑하는 그대 떠났다, 새들 따라 구름 타고 북한산 넘어 넘어 파아란 하늘 속으로 부서진 은빛 햇살에 눈물마저 말랐다
봄 봄 이승순 꽁꽁 언 긴긴 겨울 봄바람 쓸어내니 행인들 발소리도 가볍구나, 사뿐사뿐 덩달아 삼삼오오 모여 봄 여름 갈 꽃구경 혼잣밥 이승순 말없이 혼자 앉아 무리 속 외딴 고도(孤島) 이어폰 가득 메운 정보들에 빠져들어 자존감 부여잡고서 바닥까지 깨끗이
흙길, 꽃길 신기철 때로는 축원할 때 ‘꽃길 가소’ 말하지만 허공에 꽃은 없어 꽃 아래는 흙만 있지 보소서, 꽃길은 흙길 사람 걷는 모든 길 하이픈(hyphen) 신기철 공원묘지 묘비명들 띄엄띄엄 읽어보니 출생과 사망 사이 있는 것은 ‘하이픈’뿐 우리네 삶이라는 것 이다지도 허허로워
희열(喜悅) 송영기 아침에 솟는 해를 창문 열고 보았는데 저녁에 지는 해를 마당에서 또 보나니 집에서 천리 만리 밖 장엄한 굿 늘 보네 제비 송영기 빨랫줄 옹기종기 모여 앉은 어린 형제 천만 리 머나먼 곳 엄마 고향 들렀다가 오는 봄 고향집 찾아 돌아와서 지지배배
부고(訃告) 박숙희 어려운 생활에도 맑고 밝던 고향 친구 소풍 가듯 떠나갔네 돌아온단 말도 없이 건강 때 수술한다더니 끝내 영영 떠났네 무엇이 불러냈나, 기약 없이 가더니만 돌아오지 못할 그 곳 그리 급히 떠났는가 꽃단장 사진 사이에 남아 있는 외동아들 나로 살지 못하니 박숙희 대물림 미워해도 따라 사는 되풀이 삶 내가 되지 못한 것을 척박한 삶 탓하려나 나로서 살지 못하니 한(恨)만 깊고 높아라
겨울 화집(畫集) 박상준 찬바람 속 설경도 봄빛 따라 떠나가고 눈꽃 날린 겨울 풍경 추억으로 남을런가 백설로 그린 겨울 화집 벌써부터 그립네 봄맞이 시샘 박상준 다가온 봄 반가워서 나들이 나서는데 심술난 꽃샘바람 가는 길 가로막네 아무리 시샘 부린들 오는 봄이 돌아갈까
김도창 판화전, 갤러리 산수에서 개최… 깊이 있는 감각적 표현 선보여 판화가 김도창의 개인전 Print Exhibition DO CHANG KIM이 오는 2025년 3월 8일부터 30일까지 갤러리 산수(Gallery SANSU)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오랜 시간 동안 탐구해온 Letterpress Debossing 음각동판화 제작방식으로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이며, 그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조명한다. 김도창 작가는 1963년생으로 미술대학에서 순수미술과 서양화를 전공한 뒤, 1980년대 후반부터 편집디자인과 광고회사를 거쳐 1990년 문화일보에 입사해 10년간 편집국 미술부 기자로서 시사만평을 담당했다. 2001년 출판 관련 디자인 회사 NIMBUS를 설립해 다양한 단행본과 사보, 신문, 잡지 제작에 참여하면서 일러스트레이터로서도 활약했다. 그의 저서로는 '미시계의 약속'(주니어 김영사, 2011), '넌 정말 소중해'(열린책들 별천지, 2012) 등이 있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오랜 시간 동안 탐구해온 동판화, 목판화, 레터프레스, 실크스크린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을 선보이며, 고전적인 한국 문화 요소와 서양적인 드로잉 다수 형식의 에로틱
봄 봄 문명희 새봄이 잔걸음치며 더디게도 다가오네 배를 밀고 시나브로 풀벌레 기어오듯 칼바람 얼굴 터지고 두 귓볼이 아리다 일지매(一枝梅) 문명희 매화 한 송이를 피워내기 위하여 하늬바람 시나브로 봄을 싣고 불어온다 웅크린 마음 활짝 열어 기지개를 켜는구나
부고(訃告) 명노석 막걸리 기울다가 폰으로 받는 기별 본인 상(喪) 뜬 걸 보니 친구가 떠났구나 아지매 잔 하나 주오, 눈물 가득 채운다 시절가조(時節歌調) 명노석 초장은 석 자 넉 자 옷고름 풀어헤쳐 중장에 용을 써서 샅바를 거머쥐네 종장엔 뒤집기 한판, 삼오사삼 마무리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5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 경창대회 ■ 대회명 제15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 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 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21c를 맞아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높이며 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공정하며 엄격한 대회를 운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대회주최/주관 국가무형유산 경기민요보유자 이호연/(사)한국의소리 숨 ■ 대회일정 ▸예선: 2025년 10월 26일(일) 비대면 영상 심사 ▸본선: 2025년 11월 9일(일) 오전 10시 ▸시상: 결승 종료 후 역대 수상자 축하공연 마치고 단심 수상하신 분들과 함께 시상식 진행 ※ 예선은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 예선 결과는 (사)한국의소리 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대면 단심 경연하신 수상자분들도 시상식에 참석하여 상장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 본선경연, 축하공연
제4회 삼국유사 전통음악전국경연대회 요강 기 간 : 2025.10. 25.(토요일-예, 본선) 장 소 : 인각사 특설무대(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054-383-1161) 주 최 : 대한불교조계종인각사 주 관 : 삼국유사전통음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도지정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후 원 :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혜사, 문화재청, 대구광역시청, 군위군, 대구광역시교육청 특별후원 : 홈센타홀딩스, 보광산업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요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전공자)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18세(비전공자) 이상의 모든 남, 여 ▷초, 중, 고등부 –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경연시간 참가비, 고수비 : 전체 없음. : 전체 없음.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배정(시간엄수) : 접수처(안내처) ▷08:30~08:50 (고등부, 일반부), ▷10:00~10:20(신인부, 초등부, 중등부) ※ 예선 진행 (극락전-판소리) : (고등부)09: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고은 이동원(鼓隱 李東元)선생 추모 제13회 전국농악경연대회 대회요강 ■ 일 시 : 2025년 11월 1일(토) 9:00 ~ 16:00 ■ 장 소 : 부안 해뜰마루(부안읍 별천지로 3) ■ 주 최 : 부안농악보존회 ■ 주 관 :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부안농악보존회 ■ 후 원 :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군의회 ■ 경연부문 - 전국 각 지역의 농악판굿. ■ 경연방법 ∎ 경연인원 및 시간 (경연은 추첨 순서에 따름) ∎ 경연일정 ■ 심사제도 ∎ 심사위원: 예능보유자 및 국내 학계, 풍물 권위자 위촉. 행사당일 발표 ∎ 심사규정: 본대회 심사규정에 의거 심사합니다. - 단 대상에 한하여 심사기본점수에 미달시 시상을 제외할 수 있다. - 동점일 경우 대회 참가 인원수가 많은 팀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 직접스승 및 8촌이내 친인척 심사회피 제도 참가자는 직접스승이나 8촌이내 친인척이 심사위원으로 참가 할 때는 해당심사위원회의 심사회피를 경연전에 신청해야한다. 만약 심사회피를 신청하지 않아 수상을 한후 회피신청사유가 있었음이 발견될 시 주최측은 수상취소를 결정할 수 있고, 수상자는 해당 상장. 상패. 상금을 반환
제43회 전국국악대제전 대회요강 본 대회요강은 진행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대회개요 ◦ 목 적 ∙ 전국의 재능 있는 국악 신인들을 발굴 ․ 육성하여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의 정착 ∙ 국악의 올바른 전승, 보존 및 저변확대 ◦ 기간 및 장소 : 2025. 9. 13(토) ~ 9. 14(일) 2일간, 경주시 화랑마을 ◦ 주 최 : 경주시, (사)신라천년예술단 ◦ 주 관 : (사)한국국악협회경상북도지회, (사)신라천년예술단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북도,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경주 교육지원청, (사)한국예총경상북도연합회, (사)한국국악협회경북지회경주지부 ◦ 참가자격 ∙ 일반부 : 2006. 1. 1 이전출생자 (대학생 포함) ∙ 학생부 : 초 · 중 ·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검정고시 과정중인자 ∙ 신인부 : 2006. 1. 1 이전출생자 中 비전공자 ※ 초등부와 신인부 전부문 및 중등부 ․ 고등부 타악부문은 단체참가 가능 (단체부 참가인원은 10명 이내로 함, 일반부 타악부문은 단체참가 불가) ※ 참가제한 : 본 대회에서 각 부문별 최고상 수상경력자 또는 타 대회에서 본 대회 각 부문별 최고상과 동일한 훈격의 수상경력자 ◦ 경
가야금병창 최고봉 오태석 명인 기념 제17회 순천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공고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6회 송파전국국악경연대회 모집요강 ◈ 목 적 2천년 전 찬란한 문화를 꽃 피웠던 백제 한성기의 옛 도읍지인 서울 송파에서 「제6회 송파전국국악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 전통음악 대중화 및 우수한 국악인들을 배출하고자 함. ◈ 대회일정 ◆ 예 선: 2025.09.06.(토) 09:00~18:00 / 송파문화원(비대면 영상심사) ◆ 본 선: 2025.09.20.(토) 08:00~19:00 / 서울놀이마당 ◆ 시상식: 2025.09.20.(토) 17:00 - 예정 ◈ 참가자격 ◆ 초/중/고등부: 재학생 및 청소년, 비취학 청소년일 경우 그 연령의 준한 부문에 참가 가능. (비취학 청소년은 검정고시, 대안학교, 홈스쿨링 등 적용, 단 고등학교 졸업자는 제외) ◆ 일반부: 대한민국 국적의 만19세 이상의 일반인 (재수생, 대학생, 대학원생 등 포함) ◆ 단체부: 4인이상 또는 8인이상의 타악(연희, 사물놀이, 풍물) 단체 ◈ 참가제한 (모든 부문에 해당) ◆ 1인 1부문에 한함. (개인과 단체 지원 중복 불가) ◆ 본 대회 종합대상 또는 장원 수상의 입상 경력이 있는 자 ◆ 해당 중요 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 또는 보유자 후보 및 해당분야 대통령상
제31회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 경연 모습 한국청소년연맹 ‘제32회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 참가팀 모집 한국청소년연맹(총재 김현집)이 주최, 주관하고 여성가족부, 철원군, 교보생명이 후원하는 제32회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가 10월 18일에 강원도 철원에 위치한 철원종합문화복지센터 체육관에서 열린다. 이번 대회는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청소년들에게 전통예술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기 위해 1983년부터 32회에 걸쳐 열리고 있는 청소년 대상 국내 최고의 경연대회다. 8월 중 진행되는 예선심사를 통해 본선 진출 10개 팀이 선발되며, 사물놀이, 전통무용, 농악, 국악관현악, 난타 등 다양한 전통문화 부문에서 본선 경연을 펼치게 된다. 행사는 오후 2시부터 개회식, 본선 경연, 레크레이션, 시상식 순으로 진행되며, 전문 심사위원의 심사를 통해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특히 대회 최고 점수를 받은 대상팀에게는 여성가족부장관상과 함께 상금 200만원 및 트로피가 수여되며,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등 총 9개 수상팀에게는 장관상, 철원군수상, 한국청소년연맹총재상 및 부상으로 상금과 트로피가 수여될 예정이다. 연맹은 청소년들이 우리 문화를 체
2025년 제19회 대한민국 전통예술무용·연희 대제전 개최요강 ■ 대회 개요 1. 목적 인재발굴과 후진 양성의 기회 제공과 전통예술의 정체성 확립과 문화유산의 발전을 위하여 개최 한다. 2. 개최일시 및 장소 가. 일시 : 2025년 06월 22일(일요일) 대면 심사 (오전 9시~ ) 나. 장소 :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서석당 (광주 동구 의재로 222) 다. 시상식 : 2025년 06월 22일(일요일) 오후 5시 라. 주최 : (재)광주문화재단 / 주관 : 사단법인 남도전통예술진흥회 마.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광주광역 시의회, 광주예총, 광주국악협회, 광남일보, (사)한국사진작가협회 광주지회, 전남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원우회, 전남대학교문화유산연구소, ㈜산들, (사)한진옥류호남검무보존회, 비요메드요양병원, ㈜청도 ■ 경연 안내 1. 경연부문 가. 무용(전통무용 · 창작무용 · 불교무용) / 연희 나. 명인 · 명무부, 일반부, 신인부, 학생부(초 · 중등부, 고등부) ※ 불교무용: 불교사상에 근간을 두고 행하여지는 의식무 및 창작무용 등 2. 참가자격 가. 학생부 : 초, 중, 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