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탁마(切磋琢磨) 뼈나 상아(象牙) 잘라 깎고 옥돌은 쪼고 가니 정성 다한 노력으로 끊임없이 정진(精進)하네 훌륭한 군자(君子)가 되나니 백성들이 잊으리오 어의(語義) : 톱으로 자르고, 줄로 갈고, 끌로 쪼며, 숫돌에 간다.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음.) (기술을 익히고 사업을 이룩함.) 출전(出典)① : 詩經(시경) 衛風(위풍) 淇澳篇(기오편) ※ 古代(고대) 중국의 玉(옥)을 가공하는 기술 玉(옥)의 原石(원석)을 구해서 원하는 모양으로 옥을 만드는 과정은 모두 4가지가 있다. 첫 단계는 옥을 원석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옥의 모양대로 자르는 것이다. 이 공정을 자른다는 뜻의 ‘切(절)’이라고 한다. 두 번째 공정은 썬다는 뜻의 ‘磋(차)’로 내가 원하는 모양으로 옥을 썰어내는 과정이다. 세 번째 공정은 쫀다는 뜻의 ‘琢(탁)’으로 도구로 옥을 모양대로 쪼는 과정이고, 네 번째 공정은 간다는 뜻의 ‘磨(마)’로 완성된 옥을 갈고 닦는 과정이다. 즉 ‘切磋琢磨(절차탁마)’는 자르고, 썰고, 쪼고, 갈아서 옥을 만드는 가공 공정을 말한다.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子貢(자공)이 스승인 孔子(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인자요산(仁者樂山) 마음이 어진 사람은 고요하고 겸손하네 몸가짐을 중(重)히 하니 무겁고 덕(德) 두텁네 그 마음 변함이 없으니 산과 같아 산이 좋네 어의(語義)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출전(出典) : 論語(논어) 翁也篇(옹야편) 二十一(이십일) 중국 춘추시대 樊遲(번지)가 知(지)를 묻자온대, 孔子(공자) 가라사대, “백성의 의로움에 힘쓰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가히 知(지)라 이를 만하니라.” (번지가) 仁(인)을 묻자온대, (공자) 가라사대 “仁(인)이라는 것은 어려움을 먼저 하고 얻음을 뒤에 하면, 가히 仁(인)이라 이를 만하니라. <原文> 樊遲問知(번지문지) 子曰(자왈) 務民之義(무민지의)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 可謂知矣(가위지의) 問仁(문인) 曰(왈) 仁者(인자) 先難而後獲(선난이후획) 可謂仁矣(가위인의) 孔子(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자는 움직이고, 어진 자는 고요하다. 지혜로운 자는 즐기고, 어진 자는 오래 산다. <原文> 子曰(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욕속부달(欲速不達) ‘자하(子夏)’는 공문(孔門) 십철(十哲) 작은 고을 장관 됐네 고을 어찌 다스릴까 ‘공자(孔子)’께 물었더니 “서둘러 공을 이루려 하면 못 이룬다” 하였네 어의(語義) : 빨리 하려고 하면, 도달하지 못함. (일을 빨리 하려고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한다. 조급한 심리를 경계한 말.) (욕심이 앞서서 일을 빨리 이루려고 하면, 반드시 실패한다.) 출전(出典) : 論語(논어) 子路篇(자로편) 孔子(공자)의 제자로 子夏(자하)가 있다. 그는 본명이 卜商(복상)이며, 자하는 字(자)이다. 공자의 門下(문하) 十哲(십철)의 한 사람이다. 자하가 魯(노)나라의 작은 고을 莒父(거부)의 장관이 된 적이 있다. 그는 어떻게 이 고을을 다스릴까 궁리하다가 스승인 공자에게 정책을 물으니, 다음과 같이 일러주었다. “정치를 할 때 공적을 올리려고, 고을 일을 너무 급히 서둘러서 하면 안 된다. 또한 조그만 이득을 탐내지 말아야 한다. 일을 급히 서둘러 공적을 올리려고 하다가는 도리어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조그만 이득을 탐내다가는 온 세상에 도움이 될 큰일을 이루지 못하는 법이다.” <原文> 子夏爲父宰(자하위부재) 問
온고지신(溫故知新) 옛것 익혀 새것 알면 비로소 스승일세 옛것과 새것 사이 긴밀한 관련 있어 옛것과 새것을 알아야 참스승이 되리라 어의(語義)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옛 학문을 연구하고 현실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을 이해하여야 비로소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는 자격이 있다.) 출전(出典)① : 論語(논어) 爲政篇(위정편) 十一(십일) 孔子(공자)가 爲政篇(위정편)에서 이렇게 말했다. “옛 것을 익히어 새 것을 알면, 이로써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느니라[溫故而知新 (온고이지신) 可以爲師矣(가이위사의)].” 남의 스승이 된 사람은 古典(고전)에 대한 博識(박식)만으로는 안 된다. 즉 고전을 연구하여 거기서 현대나 미래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도리를 깨닫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 말은 中庸(중용)에도 나오는데, 鄭玄(정현 : 중국 후한의 경전 연구 학자)은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았다. “‘溫(온)’은 ‘옛 것을 익힌다.’는 뜻이다. ‘처음 배운 것을 익힌 뒤에 거듭 반복해서 익히는 것’이 ‘溫故(온고)’라고 한다.” 또한 周子(주자)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배움에 있어 예전에 들은 것을 기회 있을 때마다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위(衛)나라 ‘공문자(孔文子)’가 ‘대숙질(大叔疾)’을 치려 할 때 ‘공자(孔子)’에게 상의하니 아는 바가 없다 했지 ‘좋은 새 나무를 가린다’며 ‘위(衛)’를 급히 떠났네 어의(語義) :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튼다. (어진 사람은 훌륭한 임금을 가려 섬긴다.) 출전(出典) :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 三國志(삼국지) 蜀志(촉지) 중국 春秋(춘추)시대, 儒家(유가)의 鼻祖(비조)인 孔子(공자)가 治國(치국)의 도를 遊說(유세)하기 위해, 衛(위)나라에 가서 孔文子(공문자 : 위나라의 대부)에게 의탁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당시에 晉(진)나라 悼公(도공)의 아들 憖(은)이 그의 딸과 함께 衛(위)나라에 망명하고 있을 때였다. 위나라의 大叔懿子(대숙의자)는 도공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疾(질)을 낳았는데, 疾(질)은 후에 家門(가문)의 후계자가 되었으며, 憖(은)의 아들이자 疾(질)의 外叔(외숙)인 夏茂(하무)는 위나라의 대부가 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疾(질)이 다른 나라로 망명하자, 위나라 사람들은 엉뚱하게도 하무의 封邑(봉읍)을 깎아버렸다. 이 일로 인하여 공문자(孔文子)가 대숙의자의 아들 疾(질)을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살신성인(殺身成仁) 도의를 따르는 사람 덕스러움 갖춘 사람 제 목숨 지키려고 어진 일을 훼손(毁損) 않네 한 목숨 바쳐서라도 어진 일을 이루네 어의(語義) : 자신의 몸을 죽여, 어질음을 이룩함.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옳은 도리를 행함.) 출전(出典) : 論語(논어) 衛靈公篇(위령공편) 儒家(유가)의 중심 사상이 仁(인)이며, 孔子(공자)가 가장 중시했던 德目(덕목) 또한 바로 그 인(仁)이었음은 누구나 안다. 하지만 仁(인)을 한 마디로 규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공자는 忠(충 : 충성)과 恕(서 : 용서)라고 해석했다. 쉽게 말해 타인에 대한 慈悲(자비)나 人間愛(인간애), 同情心(동정심)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래서 인은 君子(군자)가 먼저 익혀야할 德目(덕목)이기도 했다. “군자가 仁(인)을 버리고 어찌 이름을 이룰 수 있으랴?”[君子去仁(군자거인) 惡乎成名(오호성명)] 곧 仁(인)은 몸소 행동으로 實踐(실천)해야 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공자의 가르침 자체가 實踐道德(실천도덕)이었다. 물론 仁(인)이 최고의 덕목인 만큼 仁(인) 자체에는 大小(대소)의 구별이 있을 수 없으며, 그것을 행하는데 있어 輕重(경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聞一知十(문일지십) 우리네 보통 사람 열 배우면 하나 알지 ‘안회(顔回)’는 총명(聰明)하여 하날 듣고 열을 아네 안회(顔回)는 공문십철(孔門十哲)이요 덕(德) 실천은 으뜸일세 출전(出典) : <論語(논어)> 公冶長篇(공야장편) 어의(語義) : 한 가지를 들으면 열 가지를 안다. - 일부분을 듣고 모두를 이해한다. - 매우 총명함. 孔子(공자)는 子貢(자공)에게 顔回(안회)에 대해 물었다. “자네와 안회는 누가 더 나은가?” 자공이 대답하여 가로되, “小生(소생)이 어찌 감히 안회와 비교할 수 있겠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듣고서도 열을 알지만, 소생은 하나를 듣고서 겨우 둘을 알 정도입니다.” 공자가 가로되, “확실히 자네는 안회를 따를 수 없네. 따를 수 없는 것은 자네만이 아니라, 나도 회를 따르지 못하는 점이 있다네.” <原文> 子謂子貢曰(자위자공왈) 女與回也孰愈(여여회야숙유) 對曰(대왈) 賜也何敢望回(사야하감망회) 回也聞一知十(회야문일지십) 賜也聞一而知二(사야문일이지이) 子曰(자왈) 弗如也(불여야) 吾與女弗如也(오여여불여야) 자공과 안회는 나이가 엇비슷했으며, 둘 다 孔門十哲(공문십철) 속에 들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簞食瓢飮(단사표음) 도시락 밥 표주박 물 ‘안회(顔回)’의 청빈한 삶 끼니를 거르면서도 삶의 기쁨 누렸구나 ‘공자(孔子)’는 두 번씩이나 어질다고 칭찬했네 출전(出典) : <論語(논어)> 雍也篇(옹야편) 어의(語義) : 도시락밥과 표주박의 물. * ‘一簞食一瓢飮(일단사일표음)’의 준말. -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음식 ⇒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 孔子(공자)는 일생 동안 무려 3천 명의 제자를 두었다고 한다. 그 가운데는 子貢(자공)처럼 理財(이재)에 밝은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子路(자로)처럼 벼슬길에 나아가 성공한 사람도 있고, 顔回(안회)처럼 가난하지만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서도 공자가 가장 사랑하고 아끼던 제자는 안회였다. 공자는 제자들을 그 역량에 따라 평하고 그에 맞는 충고를 하곤 했지만, 안회에게만은 늘 칭찬을 잊지 않았다. 공자의 기대에 맞추어, 안회도 워낙 학문을 좋아한 나머지 나이 29세에 벌써 백발이 되었다 한다. 자공이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聞一知十(문일지십)]’며,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한 사람도 바로 안회이다. 그러나 안회는 매우 가난하여 끼니 거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過猶不及(과유불급) ‘자장(子張)’ ‘자하(子夏)’ 누가 낫나 ‘자공(子貢)’이 물었더니 ‘자장(子張)’은 지나치고 ‘자하(子夏)’는 못 미친다 ‘공자’ 왈(曰) “너무 지나친 것은 못 미침과 같도다” 출전(出典) : <論語(논어)> 先進篇(선진편), 雍也篇(옹야편) 어의(語義) : 지나치면 미치지 못함과 같다. - 부족함은 물론 지나친 것도 좋지 않음. - 모든 일이 정도를 지나치면 안한 것만 못함. - Too much is as bad as little. - Excess is as bad as deficiency. 어느 날, 孔子(공자)의 제자 子貢(자공, 탁월한 외교가며 사업가. B.C.520 ~ B.C.456)이 스승에게, “子張(자장, 이름은 사)과 子夏(자하, 이름은 상) 중, 누가 현명합니까?[師與商也孰賢(사여상야숙현)].” 하고 물은 적이 있다. 지난 날, 子張(자장)이 공자에게 묻기를, “士(사)로서 어떻게 하면, 達(달)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공자는 도리어 자장에게 反問(반문)하기를, “그대가 말하는 達(달)이란 무엇인가?” “諸侯(제후)를 섬겨도 반드시 그 이름이 높아지고, 卿大夫(경대부
見利思義(견리사의)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義)로움을 생각하라” 각박한 현대 사회 물욕에 눈먼 세상 옛 성현 고귀한 말씀, 큰 가르침 아닌가 출전(出典) : <論語(논어)> 憲問篇(헌문편) 어의(語義) : 이익이 보일 때, 의리를 먼저 생각한다. - 눈앞에 이익이 보이거든, 먼저 그것을 취함이 의리에 합당한가를 생각함. 중국 春秋(춘추)시대, 孔子(공자)의 제자 子路(자로, B.C.542 ~ B.C.480. 중국 노나라의 정치가이자 무인)가 스승에게 ‘人間完成(인간완성)’에 대해 묻자, 공자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智慧(지혜), 淸廉(청렴), 無慾(무욕), 勇敢(용감), 藝能(예능)을 두루 갖추고, 禮樂(예악)으로 교양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익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하고[見利思義(견리사의)], (나라가)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칠 줄 알고[見危授命(견위수명)], 오랜 약속일지라도 전날의 자기 말을 잊지 않고 실천한다면[久要不忘平生之言(구요불망평생지언)], 역시 ‘인간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亦可以爲成人矣(역가이위성인의).” ‘見利思義(견리사의)’는 위와 같은 공자의 답변에서 나오는 말로 ‘見危授命(견위수명)’과 대구를 이루는데,
제28회 창원(경남)전국국악경연대회 요강 기 간 : 2025. 11. 15.(토-예·본선) 장 소 : 창원시늘푸른전당(경남 창원시 의창구 두대로 97/☎055-712-0372) 주 최 :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주 관 : 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경남무형유산연합회, 경상남도 판소리‘수궁가’보존회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남도, 경상남도교육청,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 창원KBS, MBC경남, 경남신문, 경남도민일보, (주)부경 특별후원 : (주) 삼양마린 ■ 경연부문 ▷성악부문(판소리, 민요, 가야금병창)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기악부문(관악, 현악)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연희부문(무용, 풍물)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전공자)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초·중·고등부 –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 경연시간 참가비 및 고수비 : 전체 없음. 접수확인 및 순번표 배정 시간 – 중·고등부, 일반부 : 09:00~09:20 (시간엄수) - 초등부, 신인부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5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 경창대회 ■ 대회명 제15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 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 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21c를 맞아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높이며 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공정하며 엄격한 대회를 운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대회주최/주관 국가무형유산 경기민요보유자 이호연/(사)한국의소리 숨 ■ 대회일정 ▸예선: 2025년 10월 26일(일) 비대면 영상 심사 ▸본선: 2025년 11월 9일(일) 오전 10시 ▸시상: 결승 종료 후 역대 수상자 축하공연 마치고 단심 수상하신 분들과 함께 시상식 진행 ※ 예선은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 예선 결과는 (사)한국의소리 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대면 단심 경연하신 수상자분들도 시상식에 참석하여 상장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 본선경연, 축하공연
제4회 삼국유사 전통음악전국경연대회 요강 기 간 : 2025.10. 25.(토요일-예, 본선) 장 소 : 인각사 특설무대(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054-383-1161) 주 최 : 대한불교조계종인각사 주 관 : 삼국유사전통음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도지정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후 원 :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혜사, 문화재청, 대구광역시청, 군위군, 대구광역시교육청 특별후원 : 홈센타홀딩스, 보광산업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요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전공자)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18세(비전공자) 이상의 모든 남, 여 ▷초, 중, 고등부 –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경연시간 참가비, 고수비 : 전체 없음. : 전체 없음.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배정(시간엄수) : 접수처(안내처) ▷08:30~08:50 (고등부, 일반부), ▷10:00~10:20(신인부, 초등부, 중등부) ※ 예선 진행 (극락전-판소리) : (고등부)09: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고은 이동원(鼓隱 李東元)선생 추모 제13회 전국농악경연대회 대회요강 ■ 일 시 : 2025년 11월 1일(토) 9:00 ~ 16:00 ■ 장 소 : 부안 해뜰마루(부안읍 별천지로 3) ■ 주 최 : 부안농악보존회 ■ 주 관 :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부안농악보존회 ■ 후 원 :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군의회 ■ 경연부문 - 전국 각 지역의 농악판굿. ■ 경연방법 ∎ 경연인원 및 시간 (경연은 추첨 순서에 따름) ∎ 경연일정 ■ 심사제도 ∎ 심사위원: 예능보유자 및 국내 학계, 풍물 권위자 위촉. 행사당일 발표 ∎ 심사규정: 본대회 심사규정에 의거 심사합니다. - 단 대상에 한하여 심사기본점수에 미달시 시상을 제외할 수 있다. - 동점일 경우 대회 참가 인원수가 많은 팀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 직접스승 및 8촌이내 친인척 심사회피 제도 참가자는 직접스승이나 8촌이내 친인척이 심사위원으로 참가 할 때는 해당심사위원회의 심사회피를 경연전에 신청해야한다. 만약 심사회피를 신청하지 않아 수상을 한후 회피신청사유가 있었음이 발견될 시 주최측은 수상취소를 결정할 수 있고, 수상자는 해당 상장. 상패. 상금을 반환
제43회 전국국악대제전 대회요강 본 대회요강은 진행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대회개요 ◦ 목 적 ∙ 전국의 재능 있는 국악 신인들을 발굴 ․ 육성하여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의 정착 ∙ 국악의 올바른 전승, 보존 및 저변확대 ◦ 기간 및 장소 : 2025. 9. 13(토) ~ 9. 14(일) 2일간, 경주시 화랑마을 ◦ 주 최 : 경주시, (사)신라천년예술단 ◦ 주 관 : (사)한국국악협회경상북도지회, (사)신라천년예술단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북도,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경주 교육지원청, (사)한국예총경상북도연합회, (사)한국국악협회경북지회경주지부 ◦ 참가자격 ∙ 일반부 : 2006. 1. 1 이전출생자 (대학생 포함) ∙ 학생부 : 초 · 중 ·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검정고시 과정중인자 ∙ 신인부 : 2006. 1. 1 이전출생자 中 비전공자 ※ 초등부와 신인부 전부문 및 중등부 ․ 고등부 타악부문은 단체참가 가능 (단체부 참가인원은 10명 이내로 함, 일반부 타악부문은 단체참가 불가) ※ 참가제한 : 본 대회에서 각 부문별 최고상 수상경력자 또는 타 대회에서 본 대회 각 부문별 최고상과 동일한 훈격의 수상경력자 ◦ 경
가야금병창 최고봉 오태석 명인 기념 제17회 순천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공고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6회 송파전국국악경연대회 모집요강 ◈ 목 적 2천년 전 찬란한 문화를 꽃 피웠던 백제 한성기의 옛 도읍지인 서울 송파에서 「제6회 송파전국국악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 전통음악 대중화 및 우수한 국악인들을 배출하고자 함. ◈ 대회일정 ◆ 예 선: 2025.09.06.(토) 09:00~18:00 / 송파문화원(비대면 영상심사) ◆ 본 선: 2025.09.20.(토) 08:00~19:00 / 서울놀이마당 ◆ 시상식: 2025.09.20.(토) 17:00 - 예정 ◈ 참가자격 ◆ 초/중/고등부: 재학생 및 청소년, 비취학 청소년일 경우 그 연령의 준한 부문에 참가 가능. (비취학 청소년은 검정고시, 대안학교, 홈스쿨링 등 적용, 단 고등학교 졸업자는 제외) ◆ 일반부: 대한민국 국적의 만19세 이상의 일반인 (재수생, 대학생, 대학원생 등 포함) ◆ 단체부: 4인이상 또는 8인이상의 타악(연희, 사물놀이, 풍물) 단체 ◈ 참가제한 (모든 부문에 해당) ◆ 1인 1부문에 한함. (개인과 단체 지원 중복 불가) ◆ 본 대회 종합대상 또는 장원 수상의 입상 경력이 있는 자 ◆ 해당 중요 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 또는 보유자 후보 및 해당분야 대통령상
제31회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 경연 모습 한국청소년연맹 ‘제32회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 참가팀 모집 한국청소년연맹(총재 김현집)이 주최, 주관하고 여성가족부, 철원군, 교보생명이 후원하는 제32회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가 10월 18일에 강원도 철원에 위치한 철원종합문화복지센터 체육관에서 열린다. 이번 대회는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청소년들에게 전통예술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기 위해 1983년부터 32회에 걸쳐 열리고 있는 청소년 대상 국내 최고의 경연대회다. 8월 중 진행되는 예선심사를 통해 본선 진출 10개 팀이 선발되며, 사물놀이, 전통무용, 농악, 국악관현악, 난타 등 다양한 전통문화 부문에서 본선 경연을 펼치게 된다. 행사는 오후 2시부터 개회식, 본선 경연, 레크레이션, 시상식 순으로 진행되며, 전문 심사위원의 심사를 통해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특히 대회 최고 점수를 받은 대상팀에게는 여성가족부장관상과 함께 상금 200만원 및 트로피가 수여되며,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등 총 9개 수상팀에게는 장관상, 철원군수상, 한국청소년연맹총재상 및 부상으로 상금과 트로피가 수여될 예정이다. 연맹은 청소년들이 우리 문화를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