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의 사직제례악, 무대에서 되살아난다. 국립국악원 대표공연 ‘사직제례악’ 9월 3~5일 예악당에서 개최
국립국악원이 대한제국의 예법을 바탕으로 한 사직제례와 악무(樂舞)를 무대에 올린다. 오는 9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는 2025 대표공연 ‘사직제례악’이 펼쳐진다.
대한제국 예법에 따른 사직대제의 재현
사직대제는 왕이 직접 제관으로 나서 땅의 신(社)과 곡식의 신(稷)에게 나라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던 의식이다. 종묘와 더불어 국정 운영의 근간을 이루던 이 제사는 왕실의 가장 권위 있는 의례 중 하나였다. 특히 종묘제례가 인간의 조상을 기리는 제사였다면, 사직제례는 천지의 신에게 올리는 제사라는 점에서 위격상 더 상위에 놓였다.
이번 무대는 대한제국 시기 새롭게 정립된 대한예전(大韓禮典, 1898)에 근거해 ‘영신-전폐-진찬-초헌-아헌-종헌-음복례-철변두-송신-망례’의 절차를 충실히 재현한다. 130여 명의 연주자와 제관이 참여해 황제국의 위엄과 격식을 고스란히 담아내며, 단순한 의례의 재현을 넘어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무대화된다.
전통의 미감을 살린 연출과 해설
연출은 ‘임인진연’, ‘나례’ 무대에서 전통 재현의 힘을 보여준 박동우 홍익대 교수가 맡았다. 그는 사직단, 등가, 헌가 등 의례의 공간 구조를 무대 위에 충실히 구현하여 지나친 현대화보다 전통 본연의 미감을 살리는 데 집중했다.
또한 공연에 앞서 김영운 전 국립국악원장이 직접 해설을 맡아, 대중에게 낯선 사직제례의 역사적 의미와 음악·춤의 가치를 풀어낸다. 지난해 ‘종묘제례악’ 국내외 순회공연에서도 그의 해설이 큰 호응을 얻은 만큼, 이번에도 관객들의 이해와 몰입도를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무형유산 등재를 향한 기대
강대금 국립국악원장 직무대리는 “이번 공연은 사직대제의 본뜻을 오늘날에 되살려 대한민국의 발전과 국민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며 “종묘제례악에 이어 사직제례악 또한 국가무형유산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