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립극장] 전국 10개 국공립 무용단,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

서울에서 제주까지 320여 명의 무용수가 펼치는 전통춤의 거대한 물결

 

한국 전통춤의 정수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축제가 열린다.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오는 10월 30일(목)과 31일(금) 양일간 해오름극장에서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를 개최한다. 국립극장과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하는 이번 축제는 국립무용단을 비롯해 전국 10개 국공립 무용단이 참여해 그야말로 전통춤의 ‘메가 크루’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무대는 국립무용단, 인천시립무용단, 경기도무용단, 대전시립무용단, 천안시립무용단, 청주시립무용단, 익산시립무용단,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무용단, 국립남도국악원 국악연주단, 제주특별자치도립무용단이 함께 참여한다. 궁중·민속·창작춤까지 아우르며 전국 각지의 춤이 가진 다양성과 지역성을 한 무대에서 만날 수 있다.

 

첫날 무대에서는 ‘전통춤의 원형’을 주제로 국립무용단의 <신태평무>가 포문을 열고, 경기도무용단의 <진쇠춤·강강술래>, 대전시립무용단의 <향-남도 소고춤>, 천안시립무용단의 <박종필류 덧배기춤> 등이 이어진다. 국립남도국악원 국악연주단의 <복개춤>은 남도의 씻김굿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삶과 죽음의 화해를 그려내며, 인천시립무용단은 불교 의식무 <사다라니>와 여인의 흥취를 담은 <풍류가인>으로 무대를 물들인다.

 

둘째 날은 ‘전통춤의 확장’을 주제로, 오늘의 언어로 재해석된 한국춤이 펼쳐진다. 인천시립무용단의 <태평성대>와 남성 아박무 <결>, 전북도립국악원 무용단의 <뜰볼비+풍장>, 익산시립무용단의 <태평천무>, 청주시립무용단의 <박병천류 진도북춤>, 그리고 제주도립무용단의 <제-나례>가 관객을 만난다. 마지막 무대는 국립무용단의 대표작 <무고>가 장식한다.

 

김종덕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은 “전통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현재에 살아 움직이는 생명력”이라며 “이번 축제는 그 에너지를 가장 가까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고 전했다.

 

공연은 전석 1만 원이며, 예매는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10월의 마지막 밤, 한국춤의 숨결과 리듬이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을 가득 채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