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공연] 국립국악관현악단, 잊힌 시대의 선율을 다시 - 국악관현악과 함께 듣는 《국악가요》

10월 25일 하늘극장에서, 70~80년대 국악가요의 부활 무대

 

국립국악관현악단, 잊힌 시대의 선율을 다시 - 국악관현악과 함께 듣는 《국악가요》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이 오는 10월 25일(토)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연 《국악가요》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1970~1980년대 대중의 사랑을 받았던 국악가요를 오늘의 감각으로 되살려, 국악의 대중화와 동시대적 확장을 동시에 탐색하는 무대다.

 

국악가요는 전통 장단과 가락 위에 대중가요의 감성을 결합해 탄생한 창작민요풍 노래로, ‘슬기둥’, 강호중, 주병선 등 가수들이 대학가요제와 방송 무대를 통해 인기를 끌며 하나의 문화적 흐름을 이끌었다. 한때 국민적 인기를 누렸던 이 장르는 음악 시장의 급격한 변화 속에 잊혔지만, 오늘날 트로트와 성인가요 등에서 여전히 그 정서와 특징이 이어지고 있다.

 

《국악가요》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국악관현악의 대규모 편성으로 재해석한다. 지휘와 해설을 맡은 채치성 예술감독은 국악가요 전성기를 직접 경험한 작곡가로, 대표곡 〈꽃분네야〉의 작곡가이자 창작국악그룹 ‘슬기둥’의 핵심 멤버였다. 그는 “국악가요는 대중이 가장 가깝게 느낄 수 있는 우리 음악의 한 형태”라며 “국악관현악을 통해 그 감동을 다시 현재로 이어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무대는 총 12곡으로 구성된다. 개막곡 〈찬란함 속으로〉는 채치성의 대표작 〈꽃분네야〉를 국립국악관현악단 상주작곡가 손다혜가 새롭게 국악관현악으로 편곡한 작품이다. 이어 김영동의 〈어디로 갈거나〉, 조광재의 〈산도깨비〉, 채치성의 〈독도아리랑〉과 〈타버린 사랑〉, 박범훈의 〈배 띄워라〉 등 당시의 인기곡이 대규모 오케스트라 사운드로 되살아난다. 또한 80년대 이후 창작된 〈아버지의 노래〉, 〈가시버시 사랑〉 등도 연주되어 시대를 관통한 국악가요의 확장과 변화를 조명한다.

 

협연자로는 국악가요 1세대 소리꾼 강호중을 비롯해 전명신, 주병선 등 원로 가수들이 출연하며, 국립창극단 단원 이광복·이소연, 민요 소리꾼 홍승희가 함께 무대에 올라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감동을 전한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이번 공연을 통해 단순한 향수의 재현을 넘어, 국악가요를 동시대의 감각으로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국악의 대중적 저변을 확대하고 미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공연 예매 및 문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 또는 전화(02-2280-4114)를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