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포럼] 모두예술주간 2025, ‘장애인문화예술 동아시아 포럼’ 개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아시아 장애예술 협력의 새 지평을 열다

동아시아 장애예술 정책과 제도, 그리고 현장 교류
“아시아 장애예술 협력의 새로운 시작”

 

모두예술주간 2025, ‘장애인문화예술 동아시아 포럼’ 개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아시아 장애예술 협력의 새 지평을 열다

 

(재)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사장 방귀희, 이하 장문원)은 기관 설립 10주년을 맞아 오는 11월 12일(수) ‘모두예술주간 2025–장애인문화예술 동아시아 포럼’을 개최한다.


‘함께 가는 미래, 동아시아 예술의 포용적 실천’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한국, 일본, 중국(홍콩 특별행정구 포함), 싱가포르 등 4개국의 장애예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포용예술의 정책, 축제, 생태계 등 다양한 의제를 논의한다. 포럼은 서울 충정로 모두예술극장에서 오전 11시부터 저녁 6시까지 진행된다.

 

장문원은 매년 ‘모두예술주간’을 통해 장애예술의 현황과 쟁점을 조명해왔으며, 올해는 특히 아시아 각국의 예술가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 교류의 장으로 그 의미를 확장했다.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던 장애예술의 담론을 아시아적 관점에서 새롭게 모색하는 자리로, 포용적 예술의 지속 가능성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동아시아 장애예술 정책과 제도, 그리고 현장 교류

 

이번 포럼은 총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세션 ‘동아시아 장애와 예술의 정책과 제도’에서는 부산대학교 정종은 교수가 한국 장애예술 정책의 흐름과 변화를 분석하며, 일본 도쿄예술위원회 오츠카 치에 매니저가 복지 중심에서 문화예술 중심으로 진화한 일본의 장애예술 정책을 소개한다. 세션 발제에 앞서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이 기조발제를 통해 장애예술 지원의 법제화와 제도적 안정성 확보의 중요성을 짚는다.

 

두 번째 세션 ‘축제를 통한 포용적 예술의 수용과 발전’에서는 아시아 각국의 장애예술 축제 사례가 공유된다. 홍콩 ‘노리미츠(No Limits)’의 에디 지 디렉터, 중국 ‘루미너스 페스티벌’의 듀 거 창립자 등이 참여해 포용예술 축제가 사회 변화에 미친 영향과 발전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김용우 한국장애인무용협회 회장이 한국 장애예술 축제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마지막 세션 ‘지속가능한 장애예술 생태계의 조성과 육성’에서는 싱가포르 ART:DIS의 안젤라 탄 대표가 장애예술인의 자립 지원 정책을, 한국 하트시각장애인체임버오케스트라와 일본 타이헨의 사례를 통해 장애예술단체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공유한다. 이를 통해 장애예술인이 복지 수혜자가 아닌 전문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는 현실적 기반을 논의한다.

 

“아시아 장애예술 협력의 새로운 시작”

 

방귀희 이사장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의 장애예술 사례를 한자리에 모은 이번 포럼이 향후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장애예술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를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장문원은 2015년 설립 이후 장애예술인의 창·제작 활동 지원과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며, 장애인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정책 수행의 중추 기관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이번 포럼을 비롯한 ‘모두예술주간 2025’의 주요 프로그램은 모두예술극장 누리집(www.moduarttheater.or.kr)을 통해 사전 신청 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